작성자: Haotian
눈물이 핑돌 정도로, 비트코인(BTC)이 마침내 $10만 미국 달러 고지를 돌파했습니다. 비트코인 생태계 내러티브의 새로운 상승 물결을 맞이할 시기가 되었습니까?
1) 메를린은 비트코인(BTC) 반감기 때 침체와 우울함을 겪었던 생태계의 원로였지만, 최근 그의 '재기' 움직임이 서서히 감지되고 있습니다.
2) 솔브 프로토콜은 곧 토큰 생성 이벤트(TGE)를 앞두고 있는데,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온체인 전략을 벤치마킹한 새로운 포지셔닝이 매력적입니다. ETF 자금의 온체인 수익 융합 수요를 포착하고 있어 상상력이 풍부합니다.
3) 바빌론은 아직 뚜렷한 움직임이 보이지 않지만, 2기 종료 시 23,295 비트코인(BTC)의 락업 실적은 나쁘지 않습니다. 바빌론 생태계의 다른 프로젝트들인 롬바드, 베드락의 열기를 어떻게 이어갈지 지켜볼 일입니다.
4) GOAT 네트워크는 밈(meme) 코인의 원조 도지코인(Doge)을 포용했습니다. 밈(meme) 자산을 핵심 스테이킹 자산에 통합하는 전략으로, 밈(meme) 커뮤니티를 끌어안으면서도 자사의 ZK 범용 레이어2 기술 프레임워크 적용을 이끌어냈습니다.
5) 인스크립션과 룬 부문에서는 하락장에서 FOMO에 휩싸인 대중의 움직임이 종종 포착되지만, 이미 많은 물결을 일으켰던 비트코인(BTC) 자산 발행 부문은 솔라나(SOL), 베이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등 체인의 밈(meme) 발행 열풍에 밀려 관심을 되찾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6) 비트스마일리, 야라 등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판 삼아 비트코인(BTC) 생태계에 진출, 이더(ETH) DeFi 여름 모멘트를 복제하려 시도하고 있습니다.
7) 스택스는 미국 SEC의 인증을 받은 최초의 컴플라이언스 프로젝트로, 오랜 기간 잠복해 있다가 이번 트럼프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호재를 통해 실적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8) 스타크넷은 비트코인(BTC) 레이어2 구현을 가속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돌파구를 마련했습니다. 새로 공개된 콜라이더스크립트가 OP_CAT 정착 전까지의 과도기적 선택지가 될 수 있을까요?
9) 널보스 네트워크(Nervos Network)의 파이버 라이트닝 네트워크도 곧 메인넷 런칭을 앞두고 있습니다. 기존 라이트닝 네트워크, RGB 등의 진척이 더딘 가운데 CKB가 '캣피시 효과'를 발휘하며 이끌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 어쨌든 비트코인(BTC)이 $10만을 돌파했으니, 비트코인(BTC) 생태계 내러티브의 새로운 물결이 일어날 것입니다. 어떤 방식으로, 어느 부문에서 먼저 시작될지, 또 새로운 혁신적인 시도는 없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