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왜 하락장에서 매수해서는 안 되는가
작성자: wale.moca(@waleswoosh)
번역: Asher(@Asher_0210)
주요 암호화폐가 하락 추세에 있으며, 이번 주기에서 가장 두드러진 수익자인 '밈(meme)코인' 역시 거의 전체 상승장 기간의 수익을 반환했습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서 소셜미디어에는 "지금이 저점매수(바텀피싱)의 좋은 기회"라는 목소리가 넘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이를 좋은 매수 기회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일반적인 공감대는 신뢰할 수 없으며, 오히려 역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누구도 시장의 바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지만, 모두가 저점매수를 외치고 있다면 우리는 다른 관점에서 현재 시장 환경을 재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반대의 입장에서 당신이 지금 저점매수를 해서는 안 되는 네 가지 이유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저평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많은 '밈(meme)코인'의 2차 시장 가격은 현재 '밈(meme)코인' 슈퍼 사이클이 시작되기 전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 예를 들어, WIF의 가격은 이미 2024년 초 수준으로 떨어졌는데, 당시 '밈(meme)코인' 열풍은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습니다. 첫 번째 암호화폐 주기를 경험한 많은 투자자들은 "이 코인이 역사적 최고점(ATH)에서 95% 떨어졌으니 분명 저평가되어 있겠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이해할 만합니다. 왜냐하면 2022년에 저도 비슷한 경험을 했기 때문입니다. 당시 제가 관심을 가졌던 것은 NFT였는데, "지루한 원숭이들(Bored Apes)이 60% 떨어졌으니 이것이 매수 기회 아닌가?"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60% 하락 이후에도 추가로 80% 더 떨어졌고, 2023년 초부터 BAYC의 바닥 가격은 다시 75% 축소되었습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BAYC가 여전히 NFT 분야 Top 3 프로젝트 중 하나라는 것이며, 대부분의 시가총액이 작은 자산의 경우 하락폭이 더욱 참혹했다는 것입니다.
어떤 자산이 90% 이상 하락했다고 해서 그것이 "저평가"된 것은 아닙니다. 단지 과도하게 부풀려졌던 버블 가치에서 내려온 것일 뿐입니다. 어떤 '밈(meme)코인'이 과거 1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가졌다가 현재 5,000만 달러로 떨어졌다고 해서 "싸졌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5,000만 달러의 가치 평가도 여전히 그 자산의 진정한 가치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이런 "싸 보이는" 하락 자산을 거래하려 하는 것은 가장 빨리 돈을 잃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저도 많은 친구들이 2022년 NFT 정점에서 현명하게 매도했지만, 이후 하락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상승장 시기의 심리적 관성에 사로잡혀, 자산이 많이 떨어졌다고 생각해 매수했지만, 결국 더 큰 손실에 빠져들었습니다.
2. 버블은 천천히 붕괴된다
'밈(meme)코인'을 예로 들면, 우리는 시간 주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버블 붕괴는 종종 긴 과정이며, '밈(meme)코인'은 분명 전형적인 버블 국면을 겪었습니다.
어떤 자산이 최고점에서 90% 이상 하락했다고 해서 즉시 바닥을 찍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버블 붕괴 이후의 하락은 몇 주 내에 끝나지 않고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2년 이후 NFT 시장의 행태가 이를 잘 보여줍니다. 가격은 빠르게 반등하지 않고 장기간 하락세와 유동성 고갈을 겪었습니다.
버블 붕괴 이후 하락 추세에서 계속해서 저점매수를 하거나, 고집스럽게 보유를 고수한다면 자금이 빠르게 소진되지 않고 시장에 의해 천천히 잠식될 것입니다. 이것이 버블 붕괴 이후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한 번에 모든 것을 잃는 극심한 고통이 아니라, 마치 개구리를 서서히 삶아내는 것처럼 지속적으로 보유 자산이 축소되다 결국 손실을 인정하고 떠나게 됩니다.
3. "광란의 내러티브"이 없다면 반등하지 않는다
이 점은 주요 암호화폐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시장은 가격 상승을 뒷받침할 극도로 낙관적인 내러티브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있었던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Strategic Bitcoin Reserve)" 내러티브의 경우, 시장의 낙관적 기대는 미국 정부가 단순히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을 넘어, 납세자 자금을 동원해 적극적으로 매수할 것이며, 이는 전 세계 정부들의 경쟁적 모방을 불러일으켜 BTC 가격을 100만 달러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것만큼 극적이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 자체는 여전히 긍정적이지만, 시장의 기대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실제 시장 반응은 예상보다 크지 않았습니다.
'밈(meme)코인'도 유사한 내러티브 붕괴를 경험했습니다. 과거 시장 논리는 "개인 투자자들이 광란적으로 매수하여 '밈(meme)코인'의 시가총액을 수백억 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더 이상 이런 이야기를 믿는 사람이 없습니다. 한번 시장이 어떤 내러티브를 의심하기 시작하면, 그 내러티브는 완전히 붕괴되어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NFT에서도 동일한 법칙이 작용합니다. 2022년에는 "NFT는 암호화폐 산업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단기간에 전 세계를 완전히 바꿀 것"이라는 내러티브가 유행했습니다. 그러나 이 신념이 깨지자 시장 심리는 빠르게 냉각되었습니다. 지금도 많은 우수한 NFT 팀들이 계속 건설 중이지만, 시장은 더 이상 "이 NFT들이 미래에 수백만 달러의 가치를 가질 것"이라는 광란적 기대를 믿지 않습니다. 내러티브가 더 이상 광란적이지 않다면, 시장에서도 비이성적인 열광적 반등은 일어나기 어려울 것입니다.
4. "다음에는 반드시 팔겠다"는 심리적 함정
많은 이들이 "급등-급락-반등-재하락"의 자산 가격 순환을 경험했지만, 결국 고점에서 매도하지 못했던 경험으로 인해 강한 후회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만약 당신도 고점을 놓쳤던 경험이 있다면, "가격이 다시 이 수준까지 오르면 반드시 팔겠다"라고 결심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로 이런 심리가 시장 반등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가격이 다시 오르면 바로 팔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 때, 시장에는 지속적인 매도 압력이 형성되어:
작은 반등조차도 대량의 매도 주문에 의해 억제되어 더 이상 상승하기 어려워지고,
가격이 과거 최고점으로 회복되기 어려워집니다.
시장이 가격 상승을 이끌려면 광란적인 신념이 필요하지, "이번에는 빨리 도망가야겠다"는 단기적 심리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는 단순히 "핫 포테이토" 게임에 불과할 뿐, 언젠가는 누군가가 더 먼저 포기하게 되어 가격 상승이 어려워질 것입니다.
시장이 완전히 망가진 것일까?
지금까지의 분석을 보면 다소 비관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새로운 시장 내러티브가 언제나 등장할 것이며, 핵심은 적절한 시기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투기적 자금과 손실 보는 자금이 완전히 정리되고, 시장이 새로운 신념을 축적하며 새로운 내러티브를 만들어낼 때, 그때가 진정한 저점매수 기회일 것입
하지만 확실한 것은: 99.99%의 밈코인은 90%까지 더 떨어져도 살 가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내러티브가 이미 붕괴되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트코인과 주요 코인들의 기본적 가치는 그 어느 때보다 강합니다. 장기적인 추세는 여전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신이 오늘 비트코인을 구매한다면, 장기적으로 볼 때 좋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