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제목:《페크트라, UX 및 팀 셔플이 이더리움(ETH)을 부활시킬 수 있을까?》
정리 & 번역: 패티, 체인캐처(ChainCatcher)
"비트코인의 가장 뛰어난 특질 중 하나는 그 프로토콜 설계가 매우 정교하고 간결하다는 점입니다."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은 첫 번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이더리움이 직면한 정체성 위기와 정확히 일치하는 시기에 이루어졌습니다.
일주일 전, 비탈릭 부테린은 그의 블로그 글 《제1계층 네트워크 단순화(Simplifying the L1)》에서 이 문장을 썼습니다. 3일 후,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해당 네트워크의 지금까지 가장 복잡한 업그레이드를 블록체인에 배포했습니다.
한편, 수요일의 페크트라(Pectra)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ETH)은 2021년 이후 가장 강력한 주간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그의 공동 창시자는 더 간단한 아키텍처로 이 네트워크를 재구축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연 이더리움 부활의 시작인가, 아니면 수년간 정체되어 있고 경쟁자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최고치를 경신하는 이 네트워크의 또 다른 가짜 새벽인가?
이 글에서는 이더리움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이러한 변화의 중요성, 그리고 이러한 빠른 발전이 이더리움을 수년간의 침체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는지 탐구해보겠습니다.
[이하 생략]기술 채무 누적: 이더리움(ETH)의 복잡성이 혁신 속도를 늦추고 기여 참여의 문턱을 높였다.
게다가 경쟁도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올해 2월과 4월, 솔라나(Solana)의 탈중앙화 거래소(DEX) 거래량이 이더리움(ETH)을 넘어섰다. 기관 투자 영역에서조차 비트코인 ETF가 투자 유입 자금의 대부분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이에 비해 이더리움 관련 상품의 시장 수용도는 상대적으로 냉담했다.
3월의 리더십 위기는 이러한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더리움 재단, 비탈릭 부테린(V神), 그리고 핵심 개발자들이 현재 여러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이유를 이해하기란 어렵지 않다. 결국 현상 유지는 더 이상 지속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들이 이더리움이 오랫동안 축적해온 도전 과제들을 뒤집을 수 있을까?
이더리움 변혁 교정
이더리움의 현재 변화는 단순히 개별 업그레이드 조치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발전 경로에 대한 재조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를 통해 이더리움은 마침내 뛰어난 기술 능력만으로는 암호화폐 세계에서 장기적으로 입지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핵심은 변화의 시기다. 이러한 변화들은 이더리움이 수년간 시장 점유율 감소와 저조한 가격 성과를 겪은 후에야 겨우 등장했다. Pectra 업그레이드 후 이더리움(ETH) 가격이 40% 급등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여전히 이더리움에 대해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더리움은 처음부터 단순성을 설계에 통합한, 후기에 개조된 것이 아닌 프로젝트들과 힘든 경쟁에 직면해 있다.
이더리움 재단이 기술 전문가들을 관리직에 영입하고 마케팅 작업의 중요성을 인정한 것은 자신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문화적 관성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Pectra 업그레이드에서 검증자 경제 모델과 L2 확장 측면에서 이룬 개선은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비탈릭 부테린이 제시한 5년 RISC-V 아키텍처 비전에 지속적으로 집중할 수 있을지가 이더리움이 직면한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결국 이더리움은 과거 발전 과정에서 여러 우선순위 작업들 간의 충돌로 인해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곧 있을 다음 업그레이드인 Fusaka는 이더리움의 전략적 전환을 검증하는 핵심 지표가 될 것이다. 만약 이번 업그레이드가 메인넷 개선을 제2계층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 배치한다면, 이는 이더리움의 전략적 전환이 진정하고 지속적인 것임을 증명할 것이며, 임시방편이 아님을 보여줄 것이다.
향후 12개월은 이러한 변화들이 이더리움의 부활인지, 아니면 단순히 시장 현실에 대한 느린 적응인지를 드러낼 것이다. 투자자들에게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새로운 방향을 확고히 실천할 수 있는지는 리더십의 지속적인 효율성과 개발 진행 속도에서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어떤 단일 기술적 이정표보다 더 중요하다.
만약 이더리움이 핵심 가치를 지키면서 이 전환을 완수할 수 있다면, "세계 원장(world ledger)" 비전은 이더리움(ETH)을 차세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기반 자산으로 재정립할 수 있으며, 그 가치는 현재 2,200달러의 가격이 반영하는 수준을 훨씬 뛰어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