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담대 심사에 ‘코인 자산’ 공식 포함

사진 - AI 이미지
사진 - AI 이미지

미국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심사 기준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보유액을 개인 자산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 시스템 내 ‘신용 자산’으로 편입되는 상징적 변화다.

연방주택금융청(FHFA)은 25일(현지시간) 팬니메이(Fannie Mae)와 프레디맥(Freddie Mac)에 주담대 심사 시 차주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자산 평가에 포함하라고 지침을 내렸다. 두 기관은 미국 전체 주담대 시장의 핵심 보증기관으로, 이번 조치는 사실상 모든 미국 은행의 대출 심사 기준에 영향을 준다.

기존에는 암호화폐가 법적 불확실성과 규제 리스크 등을 이유로 자산 평가에서 배제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차주가 암호화폐를 현금화하지 않더라도 보유 가치를 그대로 인정받을 수 있다.

FHFA는 “차주의 총 재무상태를 보다 정확히 평가하고, 주택 구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조치”라며 “특히 저소득층의 주택 소유를 확대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암호화폐 친화 정책 기조와도 맞닿아 있다. 래리 커들로 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미국을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트럼프의 비전이 반영된 조치”라고 평가했다.

시장에서는 이를 암호화폐의 제도권 자산 지위 획득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한다. CNBC는 “미국 금융사상 처음으로 주담대 심사에 코인 보유량이 반영됐다”며 “새로운 시대의 서막”이라고 전했다.

연방준비제도(Fed) 역시 최근 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 등 일부 암호화폐가 금융시장 주요 자산군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향후 기업대출, 금융상품 설계 등 다른 금융 영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캠프는 지난주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이더리움 등을 포함한 5대 전략 자산 육성안을 비공식 발표한 바 있다.

출처
면책조항: 상기 내용은 작자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따라서 이는 Followin의 입장과 무관하며 Followin과 관련된 어떠한 투자 제안도 구성하지 않습니다.
라이크
즐겨찾기에 추가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