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 대한 완전한 분석: 메커니즘 비교, 데이터 통찰력 및 규제 동향
1. 스테이블코인 개요
2. 스테이블코인의 종류와 앵커링 메커니즘
2.1 자산 보유 스테이블코인
2.2 암호화폐 자산 과담보 스테이블코인
2.3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2.4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
2.5 RWA 지원 스테이블코인
2.6 퍼블릭 체인/ 거래소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2.7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의 장단점 비교
2.8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3. 스테이블코인의 핵심 적용 시나리오
3.1 교환 매체
3.2 DeFi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다양한 역할
3.3 지불 및 결제
3.4 가치 저장소 및 안전 자산
3.5 GameFi와 Metaverse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역할
3.6 스테이블코인은 RWA의 결제도구입니다.
3.7 기타
4. 시장 현황 및 발전 동향
4.1 총 시총 및 변화하는 추세
4.2 경쟁 환경 및 시장 구조
4.3 온체인 데이터 분석
5. 글로벌 규제 정책
5.1 미국 천재법
5.2 EU MiCA
5.3 싱가포르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
5.4 다른 국가의 규제 정책
6. 리스크 및 전망
6.1 리스크
6.2 전망
참조하다
1. 스테이블코인 개요
스테이블코인 은 가격이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 유로, 금, 또는 특정 상품과 같은 안정적인 자산에 연동되는 암호화폐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은 주로 암호화폐의 과도한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가장 초기의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는 2014년에 출시된 테더(USDT)입니다. 테더는 USDT 가격이 항상 미국 달러에 고정되도록 발행된 USDT 1개당 1달러를 담보로 은행에 예치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후 자산 준비금형, 암호화폐 과담보형,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이 점차 등장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에게 헤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시장 변동성이 심할 경우, 사용자는 리스크 피하기 위해 암호화폐 자산을 스테이블코인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스테이블코인은 DeFi의 핵심 자산이기도 합니다. 대출, 거래, 채굴 등 많은 DeFi 상품이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합니다. 또한, 사용자와 프로젝트 참여자가 결제 및 저장을 위해 안정적인 가격의 자산을 기꺼이 사용하기 때문에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점차 기존 금융과 암호화폐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법정화폐를 체인에 연결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나 빠르게 자금을 이체할 수 있어 국경 간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금처럼 유통될 수 있지만, 더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은 점차 DeFi, 거래소, 온체인 결제 등에서 핵심 자산이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현재 시장 개발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유형과 메커니즘, 적용 시나리오, 정책 준수, 과제 및 전망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2. 스테이블코인의 종류와 앵커링 메커니즘
2.1 자산 보유 스테이블코인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실제 법정 통화(예: 미국 달러, 유로 등)를 준비자산으로 발행되는 암호화폐입니다. 가격은 일반적으로 특정 법정 통화에 1:1 비율로 고정됩니다. 이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은 가장 초기이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일반적으로 발행자는 시장에 유통되는 스테이블코인의 수를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금액의 법정 통화 또는 법정 통화에 상응하는 관련 자산을 은행이나 중앙화된 수탁 계좌에 예치합니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1:1 비율로 해당 법정 통화와 스테이블코인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가격과 사용 편의성이 장점으로 거래, 결제, DeFi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중앙화된 발행자가 실제로 충분한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신뢰가 필요하기 때문에 투명성과 감사 보고서가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USDT, USDC , FDUSD 등이 있습니다.
2.1.1 USDT
현재 USDT의 시총 약 1,532억 달러(https://www.coingecko.com/en/global-charts)로, 가장 시총 스테이블코인입니다. USDT는 테더(Tether)에서 발행하며, 각 USDT는 가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동등한 자산 보유고로 뒷받침됩니다. 주요 보유고 자산에는 미국 국채, 비트코인 , 금,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테더는 일일 유통량 데이터와 분기별 보유고 현황을 제공하며, 이는 공식 웹사이트의 투명성 페이지 (https://tether.to/en/transparency/?tab=usdt)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더의 보유고 보고서는 독립 회계법인 BDO의 감사를 받아 보유고 자산의 세부 구성 및 총액을 제공하며, 투명성 강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발표됩니다.
테더 공식 웹사이트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분기에 USDT의 유통 공급량 약 70억 달러 증가했고, 사용자 지갑 수는 약 4,600만 개 증가했습니다. 2025년 3월 31일 기준, 테더의 총 준비 자산은 1,492억 달러로 총 부채 1,436억 달러를 초과하여 약 55억 9,000만 달러의 초과 준비금을 보였습니다.
그림 1. 테더(Tether)의 마지막 보유량 보고서(2025년 3월 31일). 출처: https://tether.to/en/transparency/?tab=usdt
현재 USDT는 이더(ERC-20), 트론(TRC-20), BNB 체인(BEP-20), 솔라나, 톤 등 12개 이상의 주요 블록체인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USDT가 주로 이더 체인(ERC-20)에서 발행되었지만, 수수료가 인상되면서 더 많은 사용자가 송금 비용이 낮은 트론 체인(TRC-20)으로 전환했습니다. 현재 USDT의 절반 이상이 트론에서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높은 빈도, 소액, 낮은 수수료로 국경 간 거래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수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테더가 온체인 배포 전략에 있어 유연성을 갖추고 있으며, 시장 피드백에 따라 레이아웃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USDT는 실제 사용 시나리오에서 대체 불가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거의 모든 주요 중앙화 거래소(바이낸스, 코인베이스, OKX 등)에서 USDT는 기본 거래 단위입니다. DeFi 분야에서도 다양한 적용 시나리오를 갖추고 있으며, Curve, Uniswap 등 여러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의 주요 거래쌍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신흥 시장 국가(아르헨티나, 터키 등)와 국경 간 결제 및 OTC 거래 에서도 USDT는 높은 유동성과 편리한 교환성으로 인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USDT는 세계에서 가장 시총 널리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이지만, 규정 준수 과정은 순탄치 않습니다. 테더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로부터 정보 공개 부족으로 4,1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습니다. 현재까지 USDT는 EU MiCA가 요구하는 전자화폐 발행자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했고, 미국 연방 정부에서 규제하는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도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여러 국가의 규제 프레임 점차 강화됨에 따라, USDT는 규정 준수 투명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일부 지역에서 유통이 제한될 리스크 직면할 수 있습니다.
EU MiCA와 미국 GENIUS 법 시행으로 스테이블코인은 점차 강력한 규제 시대로 접어들 것입니다. USDT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하려면 시장 유통 우위를 유지하는 것 외에도 규제 준수 및 정보 공개 기준을 개선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시총 가장 점유비율 더라도 새로운 규제 개편 과정에서 선두주자로서의 우위를 잃을 수 있습니다.
2.1.2 USDC(USD 코인)
USDC (USD 코인)는 Circle에서 발행하며, 미국 달러의 안정성과 블록체인의 유연성을 결합하여 전 세계에서 빠르고 안전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달러를 제공합니다. USDC는 현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스테이블코인으로, 시총 시총 약 611억 8천만 달러로 USDT에 이어 두 번째로 높습니다.
USDC는 유동성이 높은 현금 및 그에 상응하는 자산(단기 미국국채, 현금 및 환매조건부채권(RPA) 등)으로 100% 보장되며, 사용자는 언제든지 1:1 비율로 미국 달러로 환전할 수 있습니다. USDC의 자본 준비금은 주로 Circle Reserve Fund(USDXX)와 현금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USDXX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등록된 2a-7 등급 정부 머니마켓펀드(MMF)로, 주로 현금, 단기 미국 미국국채, 그리고 당일 환매조건부채권(ORA)으로 구성됩니다. 현금 준비금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자본력, 가장 충분한 유동성, 그리고 가장 엄격한 감독을 받는 여러 주요 은행(예: 뉴욕멜론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투명성 및 감사 측면에서 Circle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준비 자산 및 유통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BlackRock은 준비 자산에 대한 독립적인 제3자 보고서를 매일 제공하며, 이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또한, 독립 회계법인 Deloitte에서 발행하는 감사 보고서를 매달 발행하여 USDC 준비 자산의 투명성과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 신뢰를 향상시킵니다.
Circle이 발표한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USDC 총 발행량은 610억 달러, 총 예비 자금은 613억 달러입니다. USDC는 전 세계 온체인 되었으며, 100개 이상의 거래소 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전 세계 180개 이상의 국가에서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송금, 저축, 결제 및 DeFi 거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림 2. USDC 보유액 구성. 출처: https://www.circle.com/transparency
USDC는 현재 이더리움, 솔라나, 아발란체, 베이스, 폴리곤, 아비트럼, 옵티미즘 등 15개 이상의 주요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발행을 지원합니다. Circle은 크로스체인 자산 리스크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브리징 방식 대신 네이티브 발행 방식을 채택합니다. 또한 여러 L2 생태계(예: 베이스, OP 스택)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Web3에서 기반을 강화하고 있으며, 현재 DeFi와 CeFi 간의 통합성이 가장 높은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입니다.
규정 준수 측면에서 USDC는 항상 규정 준수를 핵심 전략으로 삼아 전 세계적으로 라이선스 신청 및 규제 준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습니다. USDC는 EU MiCA 프레임 에 따라 EMT(전자화폐 토큰) 라이선스를 적극적으로 신청한 몇 안 되는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이며, 미국 여러 주에서 인정하는 스테이블코인 발행 기관이기도 합니다. Circle은 뉴욕주 금융서비스국(NYDFS)에서 발급하는 비트라이선스와 캘리포니아의 송금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어 강력한 규제 적응력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점 덕분에 USDC는 현재 가장 규정 준수에 친화적인 스테이블코인이며, 기관, 기업 사용자, 정부 부처의 선호도가 더 높습니다.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측면에서 USDC는 단순히 온체인 스테이블코인일 뿐만 아니라, 웹 2와 웹 3를 연결하는 결제 수단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Circle은 Visa, Mastercard, Stripe, Worldpay와 같은 거대 결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USDC를 실제 결제, 가맹점 결제, 그리고 국경 간 송금에 적용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Visa는 여러 국가에서 USDC를 국경 간 결제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기존 은행 시스템을 우회하고 비용과 시간 지연을 크게 줄였습니다. 이를 통해 USDC는 기존 스테이블코인을 뛰어넘는 실제 금융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1.3 FDUSD
FDUSD(First Digital USD)는 홍콩 First Digital Labs의 자회사인 FD 121 Limited에서 발행하는 자산 보유액 기반 스테이블코인입니다. 1:1 보유액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즉, 발행된 FDUSD 1개당 발행자는 해당 금액의 미국 달러 또는 현금 등가물(단기 국채, 머니마켓 상품 등)을 규제된 수탁 계좌에 예치하여 각 FDUSD가 1달러 자산으로 보장되도록 해야 합니다. 보유 자산은 규제된 수탁 기관인 First Digital Trust Limited에서 감독 및 관리하며, 온체인 유통량과 오프체인 보유 자산의 완벽한 일치를 보장하기 위해 제3자 감사 를 받습니다.
First Digital Labs는 홍콩 First Digital Group 산하 기업입니다. 그룹의 기술 및 제품 부서로서 스테이블코인 개발 및 발행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FDUSD의 계약 배포, 크로스체인 발행 및 생태계 확장을 담당하며, 발행 프로세스의 규정 준수 및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탁 기관인 First Digital Trust Limited와 긴밀히 협력합니다. 해당 기관은 리투아니아에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VASP)로 등록되어 있으며, 홍콩 금융관리국(HKMA)이 제안한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 에 포함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신청했습니다. 또한, FDUSD는 자산 격리 보호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사용자 자금과 회사 자체 자산을 완전히 분리하여 회사가 파산하더라도 사용자 자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FDUSD는 현재 시총 15억 4천만 달러이며, 이더리움, 솔라나, 수이, BNB 체인 등 온체인 배포됩니다. 2025년 5월 31일 First Digital Labs 공식 웹사이트에 업데이트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발행 및 유통 중인 FDUSD 토큰의 총량은 16억 5천 9백만 달러이며, 보유 계좌의 총 자산은 16억 6천 5백만 달러입니다. 보유 자산은 유통 중인 토큰의 총량보다 약간 높아 1:1 보유 자산 지원을 보장합니다. 보유 자산은 미국 국채(78%), 현금(15%), 역환매조건부채권(4%), 은행 예금(15%) 등으로 구성됩니다.
그림 3. FDUSD 데이터. 출처: https://firstdigitallabs.com/transparency
협력 홍보 측면에서 FDUSD와 바이낸스는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초, 바이낸스의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BUSD 발행사인 팍소스(Paxos)에 대한 규제 압력으로 인해 바이낸스는 BUSD 지원 및 홍보를 중단했으며,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차세대 스테이블코인 대안을 시급히 찾아야 했습니다. FDUSD는 우수한 규정 준수 구조, 안정적인 자산 보유량, 공개 감사 메커니즘, 그리고 홍콩 시장의 규제 기대치로 인해 바이낸스의 지원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바이낸스와 FDUSD는 주식 또는 금융 관계는 없지만, 바이낸스는 FDUSD에 거래소 수준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여기에는 주류 통화 거래쌍, 제로 수수료 지원, 크로스체인 입출금 기능, 그리고 바이낸스의 재무 관리 및 수익 상품과의 긴밀한 통합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FDUSD의 유동성과 시장 활용도가 향상됩니다. 다른 스테이블코인과 비교했을 때, FDUSD는 바이낸스 생태계에서 강력한 지원과 홍보 리소스를 보유하고 있어 BUSD 다음으로 우선적으로 홍보 대상에 포함됩니다.
FDUSD는 아직 홍콩이나 다른 주요 관할권에서 정식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가를 받지 못했지만, First Digital Labs는 적극적으로 허가 신청을 하고 정부 및 규제 기관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FDUSD의 규제 준수 경로가 명확해지고 시장 인지도가 높아져 주류 규제를 준수하는 스테이블코인이 될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1.4 달러1
USD1 은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 달러와 1:1 비율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USD1은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감사 디지털 달러 옵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각 USD1은 단기 미국 국채, 은행 예금, 현금 등가물을 포함한 동일한 금액의 미국 달러 자산으로 뒷받침됩니다. USD1의 준비금은 기관급 수탁기관인 비트고(BitGo)에 보관되며, 체인링크(Chainlink)의 준비금 증명(PoR) 메커니즘을 통해 온체인 실시간으로 검증되어 투명성과 사용자 신뢰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WLFI는 매 분기 제3자 회계 감사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감사 기관이나 감사 보고서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USD1은 체인링크 PoR을 지원하는 몇 안 되는 스테이블코 온체인 중 하나입니다. PoR은 BitGo가 호스팅하는 미국 달러 및 국채와 같은 준비금 자산 잔액 블록체인에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오라클 이 무료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오라클 기반 온체인 준비금 검증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감사, 그리고 제3자 개발자에게 전례 없는 자산 투명성을 제공합니다. WLFI는 향후 정기 감사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아직 구체적인 감사 기관명이나 상세 보고서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합니다.
USD1이 널리 주목을 받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그 배경에 깔린 정치적 배경 때문입니다. USD1 발행사인 WLFI는 현재 트럼프 가문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프로젝트에서 암호화를 옹호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아들 에릭 트럼프와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는 웹3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막내아들 배런 트럼프 역시 디파이(DeFi) 선구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WLFI는 거버넌스 메커니즘에 커뮤니티적 특성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트럼프 가문과 관련된 핵심 의사 결정권은 일반 토큰 보유자에게 공개되지 않았으며, 탈중앙화 거버넌스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강력한 정치적 색채 때문에 USD1은 트럼프 계열의 정치적 스테이블코인으로 널리 알려져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USD1은 이더 과 BNB 체인에 배포되었으며, 더 많은 주류 체인으로 확장될 계획입니다. 사용자는 바이낸스와 같이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는 중앙화 거래소 통해 미국 달러 또는 다른 스테이블코인(예: USDT, USDC)으로 USD1을 구매하거나, OTC 또는 DEX 거래를 통해 USD1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오프체인 은행 송금을 지원하는 대규모 사용자나 기관은 BitGo가 관리하는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민트 하거나 환매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는 엄격한 KYC 인증이 필요합니다.
규정 준수와 관련하여, USD1은 아직 EU MiCA 또는 미국 금융 규제 기관으로부터 관련 라이선스를 공개적으로 취득하지 못했습니다. 엄격한 KYC 메커니즘과 보관 체계는 주요 관할권의 규정 준수 요건을 충족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지만, 공개된 제3자 감사 보고서와 규제 승인 문서가 부족하여 시장은 규정 준수에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USDC 및 FDUSD와 같이 규정 준수 라이선스를 적극적으로 신청하고 보유한 스테이블코인과 비교했을 때, USD1은 투명성과 규제 협력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USD1은 2025년 3월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탄탄한 정치적 배경과 시장의 기대감 덕분에 단 몇 달 만에 여러 주요 거래소 의 지지를 확보하며 콜드 스타트 단계를 빠르게 돌파했습니다. 현재 USD1의 시총 21억 달러를 돌파하며 시총 상위 10대 스테이블코인에 속합니다. 이러한 성과는 정치적 지지와 보유 모델에 대한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는 동시에,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서 정치 자본과 금융 상품이 지닌 고유한 매력을 부각합니다.
앞으로 USD1이 감사 투명성을 높이고 규제 승인을 명확히 한다면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법적 유통 자격을 얻는 데 더욱 유리해지고 사용자와 기관 투자자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2.2 암호화폐 자산 과담보 스테이블코인
암호자산 초과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발행량보다 많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제공하여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를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달러 상당의 스테이블코인을 취득하려면 150달러 이상의 암호자산(예: ETH , BTC 등)을 스마트 계약에 예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초과 담보 방식은 암호화폐 가격의 급격한 변동 리스크 완화하고 스테이블코인이 항상 가치를 뒷받침할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도록 보장합니다. 담보 자산의 가치가 급격히 하락할 경우, 시스템은 스테이블코인의 상환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강제 청산 메커니즘을 실행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중앙화된 기관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높은 수준의 탈중앙화 와 보안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 발행량보다 더 많은 자산을 담보로 제공해야 하므로 자본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문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2.2.1 DAI(USDS)
DAI는 MakerDAO에서 출시한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입니다. DAI의 가치는 미국 달러에 1:1 비율로 고정되어 있으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초과 담보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ETH, WBTC, stETH와 같은 지원되는 암호화폐 자산을 Maker 프로토콜의 Vault에 예치하여 해당 금액의 DAI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사용자는 결제, 저장, 거래 및 기타 목적으로 거래소 통해 DAI를 직접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시장 변동에 대응하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초과 담보를 요구하며, 일반적으로 담보 비율은 110%에서 200% 사이입니다. 담보 자산의 가치가 최소 요건보다 낮을 경우, 시스템은 DAI의 안정적인 앵커링을 보장하기 위해 담보의 일부를 자동으로 청산합니다.
메이커 프로토콜은 또한 다이(DAI) 예치 시 이자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다이 예치 금리(DSR) 메커니즘을 도입했습니다. DSR은 최소 예치 금액 제한이 없으며 언제든지 예치 및 인출이 가능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DAI 가격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메이커(MKR) 보유자는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DSR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DAI 가격이 1달러를 초과하면 이자율을 낮춰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자율을 높여 사용자들이 DAI를 보유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현재 DAI 시총 35억 달러를 돌파하며 DeFi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24년 9월, MakerDAO는 리브랜딩을 발표하고 Sky Protocol로 업그레이드했으며,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USDS와 거버넌스 토큰 SKY를 출시했습니다. USDS는 DAI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1달러에 고정된 탈중앙화 초담보 스테이블코인입니다. ETH, USDC, USDT, RWA(실물 자산) 등 다양한 담보 자산을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1:1 비율로 DAI를 USDS로 자발적으로 전환하거나, Sky.money 플랫폼을 통해 USDC, USDT, ETH 또는 SKY를 USDS로 직접 교환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기존 MKR 토큰도 1:24,000 비율로 SKY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DAI와 MKR은 계속 유통될 예정이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마이그레이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USDS는 탈중앙화 유지하는 동시에 메커니즘 설계와 사용자 인센티브를 더욱 강화합니다. 사용자는 USDS를 Sky Savings Rate(SSR) 모듈 에 입금하여 sUSDS 저축 증서를 받을 수 있으며, 이 증서는 계약에 따라 설정된 이자율에 따라 자동으로 증가하며 언제든지 상환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사용자는 STR(Sky Token Rewards) 포인트를 획득하여 향후 권리 상환 또는 거버넌스 참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작업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완전 자동으로 실행되며, 자산은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관리하여 보안성과 투명성을 모두 보장합니다.
현재 USDS 시총 71억 5천만 달러를 돌파하여 USDT와 USDC에 이어 세계 3위의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USDS의 빠른 성장은 Maker/Sky 시스템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이 규정 준수와 메커니즘 혁신 사이에서 새로운 균형을 찾았음을 보여줍니다.
USDS는 고급 메커니즘과 투명한 운영 방식을 갖춘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지만, 몇 가지 리스크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자산을 담보로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이 심화될 경우(예: ETH 폭락) 대규모 청산이 발생하여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담보 자산은 실물 자산(RWA)으로, 오프체인 규정 준수 및 실행 문제가 수반되며 법적 리스크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USDS의 혁신성은 인정받을 만하지만, 사용자는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에 유의해야 합니다.
규정 준수 측면에서 DAI와 USDS는 모두 검열 방지 및 자체 관리를 강조하는 탈 탈중앙화, 과담보 스테이블코인이지만, 현재의 주류 규제 프레임 하에서는 규정 준수가 여전히 특정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DAI는 MakerDAO에서 출시되었으며 전적으로 온체인 생성됩니다.중앙화된 발행자가 없고, 금융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않았으며, 외부 감사 제공하지 않았으며, 신원 인증, 준비금 준수 및 상환 메커니즘에 대한 EU MiCA 및 싱가포르 SCS와 같은 법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어렵습니다.USDS는 MakerDAO가 Sky Protocol로 이름을 변경한 후 출시된 차세대 스테이블코인이지만,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USDC 및 RWA와 같은 일부 규정 준수 자산을 도입했지만, 전체적으로 규제 라이선스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두 가지 모두 DeFi 시나리오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규정 준수 측면에서 많은 부분이 부족합니다.
2.3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자산 준비금이나 초과 담보 스테이블코인과는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법정화폐나 암호화폐 자산을 준비금으로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 공급과 수요를 제어하여 미국 달러 또는 기타 법정화폐와 1:1의 앵커링(anchoring)을 유지합니다.
2.3.1 테라 USD(UST)
TerraUSD(UST)는 프로젝트 Terra에서 출시한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매 토큰인 LUNA와의 연계 메커니즘을 통해 UST와 미국 달러 간의 1:1 페그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UST 가격 안정성의 핵심은 LUNA와의 거래 관계에 있습니다. UST 가격이 1달러보다 높으면 사용자는 LUNA를 소각하여 UST를 민트 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의 UST 공급을 증가시켜 가격을 낮춥니다. UST 가격이 1달러보다 낮으면 사용자는 UST를 소각하여 LUNA를 민트 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의 UST 공급을 감소시켜 가격을 높입니다. 이 메커니즘은 시장 참여자들의 차익거래를 통해 UST 가격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2022년, UST 가격이 1달러 아래로 떨어지자 시스템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이 할인된 UST를 1달러에 LUNA 로 교환하여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대량 의 UST가 소각되고 새로운 LUNA가 민트 되었습니다. 시장에 더 많은 LUNA가 공급되면서 LUNA 가격은 급격히 하락했고, LUNA는 UST 가치를 지탱하는 유일한 지지체였습니다. LUNA 가격이 폭락하자 UST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는 더욱 하락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UST와 LUNA를 매도하게 되었고, 이는 공황 상태를 야기했습니다. 이러한 악순환은 결국 UST 가격을 몇 센트까지 떨어뜨리고 LUNA 가격을 거의 0으로 만들었으며, 테라 생태계 전체가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UST와 LUNA의 붕괴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직접적이고 광범위한 부정적 영향을 미쳐 웹3 시장 전체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의 메커니즘에 의문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차이를 통해 사용자 민트 하거나 소각하도록 유도하여 앵커링(anchoring)을 유지하도록 하지만, 일단 시장의 신뢰가 흔들리면 차익거래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어려워져 앵커링 해제 리스크 크게 상승. 또한,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충분하거나 양질의 담보 자산을 보유하지 않으며, 대규모 환매 대면 안정적인 가치 지원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현재까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시총 크게 하락했으며 많은 국가에서 리스크 자산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규제 정책의 압력과 더불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변화를 이루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3.2 프랙스
Frax는 원래 부분적으로 담보화되고 부분적으로 알고리즘적으로 규제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자산의 일부(예: USDC)를 담보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스템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가격이 목표 가격에서 벗어나면 알고리즘은 차익거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FRAX를 적극적으로 민트 하거나 소각하도록 유도하고, 공급과 수요 관계를 조정하여 가격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FRAX 가격이 1달러를 초과하는 1.02달러일 경우, 시스템은 공급을 늘리기 위해 사용자가 더 많은 FRAX를 민트 유도합니다. 사용자는 1달러 가치의 담보(예: USDC + FXS)로 1개의 FRAX를 민트 한 다음, 시장에서 1.02달러에 매도하여 0.02달러의 스프레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시장의 FRAX 수가 증가하고 가격은 1달러 부근으로 다시 떨어집니다. 반대로, 가격이 1달러보다 낮을 경우(예: 0.98달러), 사용자는 FRAX를 소각하도록 유도됩니다. 사용자는 시장에서 0.98달러로 FRAX를 매수한 후, 시스템 설정에 따라 총 1달러의 가치가 있는 담보 자산을 상환하고 차액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FRAX가 소각되고, 시장 거래량이 감소하며, 가격은 자연스럽게 상승 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수요와 공급의 변화를 통해 FRAX를 가능한 한 1달러 수준으로 유지하는 "시장 자체 조절"과 유사합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고도로 탈중앙화 되어 있지만, Terra/UST의 붕괴 이후 시장 전체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신뢰를 잃었습니다. Frax는 100%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은 아니지만, 부분 담보 + 알고리즘 조정 모델은 여전히 리스크 으로 간주됩니다. 동시에 여러 국가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스테이블코인 뒤에는 명확하고 실질적이며 투명한 준비 자산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변화에 적응하고 사용자를 유지하기 위해 Frax는 최신 버전 V3에서 중요한 개선 사항을 적용했습니다. Frax V3는 기존 알고리즘 메커니즘 중 일부를 폐기하고 외부 자산으로 100% 담보되는 모델로 완전히 전환했습니다. 즉, 각 FRAX 스테이블코인은 동일한 가치의 자산으로 뒷받침되며 더 이상 거버넌스 토큰인 FXS의 시장 가치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USDC, sDAI, 단기 미국국채, 연방준비제도(Fed) 환매조건부채권(RRP), 또는 FDIC 보호 미국 달러 예금과 같은 특정 자산을 프로토콜 볼트에 예치하고 1:1 비율로 FRAX를 발행 민트 수 있습니다. 이 "완전 담보화" 모델은 안정성과 규정 준수를 크게 향상시킵니다. Frax V3는 또한 동적 담보율 메커니즘을 도입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AMO(알고리즘 시장 운영)와 온체인 거버넌스를 사용하여 전반적인 담보 비율(담보 비율, CR)이 항상 100% 이상인지 보장하며, 필요한 경우 시스템의 리스크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적당히 조정됩니다.
글로벌 규제 강화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신뢰 위기 이후, Frax는 USDC, sDAI 및 단기 미국국채 와 같은 실물 자산 담보로 100% 지원되는 버전 V3의 새로운 모델로 전환했습니다.이러한 변환을 통해 EU MiCA 및 싱가포르 MAS와 같은 규제 요구 사항에 더 가까워졌습니다.그러나 현재까지 Frax는 주요 국가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않았으며 정기적인 제3자 감사 실시하지 않았습니다.자산 보관은 여전히 프로토콜에 의해 내부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권위 있는 독립적 보관 메커니즘이 부족합니다.따라서 Frax가 규정 준수를 향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규제 관점에서 볼 때 아직 규정 준수와는 거리가 멉니다.향후 유럽 및 미국 시장에서 발전하기를 바란다면 감사 공개, 라이선스 신청 및 리스크 격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2.4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
이자부 스테이블코인은 보유 기간 동안 자동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의 한 유형입니다. 미국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의 가치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수익이나 온체인 헤징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기초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을 코인 보유자에게 돌려줍니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채굴 이나 스테이킹 에 참여할 필요 없이, 보유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으로 미국국채, 온체인 대출, 스테이킹 토큰과 같은 이자부 자산을 기반으로 하며, 발생하는 이자는 특정 메커니즘을 통해 코인 보유자에게 분배됩니다. 일반 스테이블코인처럼 미국 달러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자 계좌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자금을 천천히 늘릴 수 있습니다. 이자부 스테이블코인은 저 리스크 추구하는 일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의 이자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4.1 에테나 USDe
USDe는 Ethena가 출시한 합성 달러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암호화폐 자산으로 뒷받침되며, 온체인 커스터디와 중앙화된 유동성 수입을 채택합니다. 합성 자산 모기지와 스마트 헤지 전략을 결합하여 미국 달러에 1:1 앵커링(anchoring)하는 동시에 자체 수입을 창출하는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USDe는 암호 자산의 초과 담보화를 사용합니다. 사용자가 stETH 및 ETH와 같은 암호 자산을 Ethena 프로토콜에 예치하면, Ethena는 중앙화 거래소 에서 ETH 무기한 계약 리스크 공매도(Short) 포지션 숏(Short) 하여 시장 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포트폴리오를 구축합니다. 이 전략을 "델타 중립 헤징"이라고 하며, 자산 포트폴리오 가치의 급격한 변동을 피하고 담보의 달러 가치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메커니즘의 핵심은 USDe의 가격을 직접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 자산의 가치를 안정화하고 USDe 민트 에 대한 보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USDe가 1달러와 같은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해 Ethena 프로토콜은 델타 중립 전략에 기반한 핵심 차익거래 메커니즘을 설계하여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 기준 가격을 안정화합니다. 유통시장 에서 USDe 가격이 1달러보다 낮을 경우(예: 0.98달러로 하락), 차익거래자는 시장에서 더 낮은 가격에 USDe를 매수한 후, Ethena 프로토콜을 통해 동일한 가치의 기초 암호화폐 자산(예: ETH 또는 stETH)과 1:1의 비율로 USDe를 상환할 수 있습니다. 상환 시점의 내부 가격은 여전히 1달러이므로, 차익거래자는 "0.98에 매수, 1.00에 상환" 거래를 통해 2%의 제로 리스크 수익을 얻었습니다. 이 차익거래는 USDe에 대한 시장의 수요를 증가시켜 가격 상승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USDe가 점진적으로 1달러로 회귀하도록 유도합니다.
반대로, USDe의 시장 가격이 1달러보다 높을 때(예: 1.02달러로 상승), 사용자는 프로토콜에 암호화폐 자산(예: ETH)을 담보로 제공하고 1:1 비율로 새로운 USDe를 생성한 후, 시장에서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달러 상당의 ETH로 1 USDe를 생성하여 1.02달러에 판매하면 2%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USDe 공급을 증가시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완화하고, 가격은 점차 1달러 부근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시장의 힘을 통해 USDe 가격이 1달러 부근에서 변동하도록 유도하여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Ethena 프로토콜은 두 가지 주요 채널을 통해 프로토콜 현금 흐름을 얻습니다. 하나는 자금 조달 수입이고 다른 하나는 스테이킹 수입입니다. 영구 선물 시장에서 계약 가격을 현물 가격과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 자금 조달 비율 메커니즘이 설정됩니다. 시장이 상승 관점 때(롱 포지션 열광), 롱(Long) 사람은 숏(Short) 사람에게 자금 조달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시장이 하락 관점 때(공매도(Short) 이 많음), 숏(Short) 사람은 롱 포지션에 자금 조달 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현재 시장이 강세일 때(일반적으로 롱(Long)), Ethena의 공매도(Short) 포지션 안정적으로 자금 조달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stETH(ETH의 스테이킹 버전으로 ETH 스테이킹 보상을 자체적으로 생성함)와 같이 이자 발생 능력이 있는 일부 자산도 Ethena가 스테이킹 수입의 이 부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프로토콜은 현금 흐름을 가지며, USDe 자체는 실제로 이자 발생 자산에 의해 지원되는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입니다.
하지만 USDe를 보유한 모든 사용자에게 수익이 자동으로 분배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가 USDe를 sUSDe로 스테이킹 때만 프로토콜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즉, USDe는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이지만, 수익은 sUSDe를 통해 분배되며, USDe 자체를 보유한다고 해서 직접 이자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는 언제든지 sUSDe를 USDe로 교환하여 이자 발생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더나(Ethena)는 오프체인 커스터디 메커니즘을 채택합니다. USDe를 지원하는 모든 자산은 항상 기관 등급의 오프 거래소 커스터디 시스템에 저장됩니다. 자산은 자금 조달 수수료 또는 실제 손익 정산 시에만 일시적으로 거래소 로 유입되므로 중앙화 거래소 의 리스크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Ethena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USDe는 온체인 배포되었으며, 사용자 수는 71만 3천 명, 시총 58억 9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현재 시총 4번째로 큰 스테이블코인이며, 상위 3개는 USDT, USDC, USDS(DAI)입니다.
2.4.2 미국 달러
USDY(US Dollar Yield Token)는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에서 발행하는 수익 창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공식적인 정의는 토큰화된 채권입니다. 단기 미국 재무부 채권과 은행 요구불 예금으로 뒷받침되며, 안쿠라 트러스트(Ankura Trust)와 같은 신탁 기관이 보유 및 보증하여 각 USDY가 동일한 금액의 미국 달러 자산으로 뒷받침되도록 합니다. USDY 시총 5억 8천만 달러입니다.
USDY에는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하나는 누적 USDY로, 자산 가치 상승을 반영하여 수익과 함께 토큰 가치가 매일 증가합니다. 다른 하나는 rUSDY로, 가격은 1달러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자 수익은 추가 토큰 형태로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rUSDY 100개를 개당 1달러에 매수한 경우, 기초 자산 수익으로 USDY 개당 가격이 1.01달러로 상승하면 해당 rUSDY 가격은 1달러로 유지되지만, 보유자의 지갑에는 자동으로 101개의 rUSDY가 생성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수익에 따라 매일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두 버전은 서로 교환 가능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USDY는 주로 미국 외 개인 및 기관 투자자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 KYC 인증 완료 후, 사용자는 은행 송금이나 스테이블코인(예: USDC, USDT)을 사용하여 USDY를 구매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서 이자가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민트 양도 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는 데는 40~50일이 소요되며, 이 기간 동안 사용자는 임시 인증서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실제 USDY 토큰은 일반적으로 40~50일 후에 사용자 지갑으로 발행됩니다. 사용자의 가입 자금이 시스템에 입력되면,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는 이 자금을 사용하여 단기 미국국채 및 은행 요구불 예금과 같은 저 리스크 고품질 미국 달러 자산을 매입하고, USDY의 완전한 담보 및 환매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 비율의 초과 준비금을 설정합니다. 이러한 기초 자산에서 매일 발생하는 이자 수익에 따라, 사용자가 보유한 USDY는 점진적으로 가치가 상승(또는 rUSDY 형태로 매일 자동으로 증가)하여 미국 달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를 얻고 자동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 과정 전반에 걸쳐 사용자는 스테이킹 수동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으며, 수입은 자동으로 생성되어 분배됩니다.
USDY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산의 투명성과 준비금의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는 단기 미국국채, 규제 대상 은행의 요구불 예금 등 USDY가 보유한 자산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탁기관을 통해 관리합니다. 담당자는 매주 USDY 총 공급량, 다양한 기초 자산의 포지션 비율, 현금 보유액 및 수익률을 자세히 설명하는 투명성 보고서를 발표합니다. 6월 5일 공식 웹사이트에 업데이트된 최신 정보에 따르면, USDY 시스템은 6억 3,600만 달러 상당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으며, 이는 6억 5,500만 달러 상당의 실물 자산으로 뒷받침됩니다. 담보 대출 금리는 103.99%로, 높은 수준의 자금 안전성과 충분한 자산 보호를 보여줍니다.
그림 4. USDY 포트폴리오 개요. 출처: https://ondo.finance/usdy
2.5 RWA 지원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RWA, Real World Assets)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현금, 국채, 상업어음 등 실물 자산을 준비금으로 활용하여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을 말합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으로 자산 투명성, 규정 준수 및 감사 메커니즘을 강조합니다.
2.5.1 USD0
USD 0는 Usual Protocol에서 출시한 RWA 기반 스테이블코인입니다. 민트 모든 USD 0는 실물 자산으로 완전히 뒷받침됩니다. 즉, 보유량이 유통량보다 크거나 같아 1:1 앵커(anchor)를 보장합니다.
Usual이 지원하는 담보 자산은 주로 미국 재무부 채권(T-Bills)이지만, Usual은 이러한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전문 실물 자산(RWA)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접근합니다. 예를 들어, Hashnote, Ondo, Backed와 같은 플랫폼은 실물 단기 미국국채 보유하고 토큰화합니다. Usual은 이러한 플랫폼과 협력하여 발행하는 온체인 T-Bills 자산을 USD 0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담보 지원 프로토콜에 도입합니다. Usual은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의 T-Bills 자산을 범용 담보 자산인 USYC로 패키징합니다. 실제로 Usual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특정 자산의 출처를 신경 쓸 필요 없이 USYC와 상호 작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사용자가 참여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첫 번째는 토큰화된 RWA를 보유한 사용자입니다.이러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타사 플랫폼(예: Hashnote)을 통해 토큰화된 T-Bill을 얻고 이러한 적격 자산을 Usual의 daoCollateral 계약을 통해 프로토콜에 담보로 제공합니다.이 계약은 1:1 비율로 USD 0 스테이블코인을 자동으로 민트 합니다.상환 시 사용자는 계약을 통해 USD 0을 원래 담보 자산으로 교환할 수도 있습니다.두 번째는 RWA 자산이 없지만 USD 0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입니다.이러한 사용자는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USDC를 입금하기만 하면 Usual 프로토콜이 시스템의 다른 제공자(담보 제공자)가 사전 담보로 제공한 USYC 자산을 호출 민트.동시에 사용자가 지불한 USDC는 유동성 수입원으로 담보 제공자에게 이체되고 제공자는 USUAL 토큰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는 토큰화된 RWA를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Usual의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USYC의 설계는 프로토콜이 다양한 실제 자산 소스를 은밀하게 통합하도록 지원하며, 안정성과 규정 준수를 보장하고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동시에, Usual은 USD 0의 파생상품인 USD 0++를 출시했는데, 이는 소득이 있는 USD 0와 동일합니다. 사용자는 Usual의 수익 풀에 USD 0를 예치하고 사용자가 예치한 원금(USD 0)과 풀에 누적된 이자를 나타내는 동일한 금액의 USD 0++를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예치한 USD 0를 사용하여 더 많은 USYC를 약속하거나 다른 저 리스크 RWA 전략을 실행합니다. 생성된 소득은 USD 0++ 보유자에게 비례하여 분배되며, USD 0++ 자체는 계속해서 가치가 오릅니다. 상환 시 사용자는 USD 0++를 더 많은 USD 0으로 교환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USD 0++의 인센티브는 선형적으로 해제되며 가장 긴 해제 기간은 4년입니다. 사용자가 중간에 자산을 종료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잠금 해제된 인센티브는 부분적으로 공제되거나 수령하다 수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Usual은 사용자가 장기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프로토콜의 재정적 안정성과 유동성 보안을 강화합니다.
현재 USD 0 시총 약 6억 1,900만 달러입니다. Usual의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USD 0의 담보 자산은 약 6억 2,000만 달러(주로 USYC)이며, 담보 비율은 100.81%로 충분한 자본 준비금을 보여줍니다.
그림 5. USD 0 역방향 데이터. 출처: https://usual.money/
규정 준수 측면에서 Usual은 실제 자산(예: 국채)을 직접 보관하지 않고 규정을 준수하는 RWA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자산의 토큰화된 버전(예: T-Bills 토큰)을 확보하여 프로토콜을 통해 통합하기 때문에 이러한 플랫폼 대부분은 이미 관련 금융 및 증권 규제 표준을 준수했으며, 플랫폼에서 발행하는 토큰화된 T-Bill은 법적 프레임 하에서 실행되므로 Usual은 규정을 준수하는 자산 소스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동시에 Usual 프로토콜 자체는 탈중앙화 있으며 모든 모기지, 민트 및 상환 프로세스는 온체인 스마트 계약을 통해 완료됩니다. 사용자 자산을 보관하지 않고 중앙화된 청산인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파산 격리 및 보안과 투명성을 달성합니다. 전반적인 설계는 기존 스테이블코인이 은행 보관에 의존하는 것을 피하고 규정 준수 리스크 줄이지만, 향후 협력 플랫폼이 직면할 수 있는 규제 정책 변화에는 여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2.6 퍼블릭 체인/ 거래소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점점 더 많은 퍼블릭 체인과 거래소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퍼블릭 체인 팀이나 핵심 생태계에서 발행하고 체인 생태계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거래, 대출, 거버넌스 등 온체인 의 핵심 모듈 에 깊이 통합되어 USDT나 USDC와 같은 외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온체인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자율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6.1 BUSD(바이낸스 USD)
BUSD는 바이낸스가 팍소스 트러스트 컴퍼니(Paxos Trust Company)와 협력하여 발행한 자산 보유액 기반 스테이블코인입니다. 각 BUSD는 은행 예금이나 단기 미국국채 포함한 1달러 상당의 실제 보유 자산으로 뒷받침됩니다. 이러한 자산은 미국의 규제 금융기관인 팍소스가 관리하며, 온체인 BUSD 잔액이 체인 외부의 달러 보유액과 완전히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3자의 정기적인 감사 받습니다.
BUSD는 오프체인 수탁 및 온체인 발행 모델을 채택합니다. 준비 자산은 기존 금융 시스템(예: 은행 계좌 및 머니마켓 상품)에 저장되며, 온체인 BUSD(ERC-20 토큰)는 Paxos에서 민트, 사용자는 미국 달러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Paxos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는 BUSD를 오프체인 미국 달러로 교환 요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2023년 2월, 뉴욕 금융서비스국(NYDFS)은 Paxos의 규제 준수 검토를 이유로 BUSD 발행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Paxos가 법규 위반 혐의로 명시적으로 고발되지는 않았지만, 규제 당국은 Paxos의 규정 준수 리스크 우려했습니다. 따라서 BUSD는 신규 코인 민트 중단하고 기존 BUSD는 여전히 미국 달러로 환매 가능하며, 수탁 관리(custody)를 통해 계속 보호받을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후 바이낸스는 BUSD 관련 신규 대출 업무 잇따라 중단하고, 거래쌍을 취소하고, 출금 채널을 폐쇄하는 등 조치를 취했으며, 사용자의 BUSD 잔액 FDUSD와 같은 신규 코인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했습니다. 현재 공식 또는 법적 채널을 통해 신규 BUSD를 민트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BUSD의 유통량은 점차 감소하여 결국 시장에서 사라질 것입니다. 현재 BUSD 시총 약 3억 1천만 달러입니다.
BUSD 사건은 스테이블코인 규제 준수 감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규제를 준수하는 스테이블코인은 장기적인 운영에 더욱 안전합니다. 동시에, 이 사건은 중앙화된 스테이블코인이 직면한 규제 리스크 과 투명성에 대한 강력한 요구를 반영합니다. 제3자 감사 와 자산 공개는 사용자 신뢰를 얻는 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BUSD 외에도 주요 퍼블릭 체인들은 최근 몇 년간 생태계를 풍요롭게 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체 스테이블코인 개발을 모색하고 계획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베라체인(Berachain)은 다중 자산 담보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가격 고정을 실현하는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허니(Honey)를 출시했습니다. 베이스(Base)는 더 광범위한 DeFi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달러에 기반을 둔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을 개발하기 위해 USDb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아비트럼(Arbitrum)과 옵티미즘(Optimism)과 같은 레이어 2(Layer 2) 체인 또한 크로스체인 및 확장성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으로 보안과 유동성을 모두 고려하여 과도한 담보 또는 자산 보유 모델을 채택하여 생태계 번영과 효율적인 자본 순환에 기여합니다.
2.7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의 장단점 비교
위에 언급된 스테이블코인의 유형으로는 자산 준비금, 암호 담보, 알고리즘 기반, RWA 지원, 이자부 스테이블코인이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성, 보안성, 탈중앙화 및 규정 준수 측면에서 각자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USDC, USDT, FDUSD 등)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규제가 가장 엄격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 또는 단기 미국국채 같은 자산에 1:1 비율로 연동되며 중앙화된 기관에서 관리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가격 안정성과 사용자 수용 측면에서 우수하지만, 중앙화 및 투명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점도 있습니다. USDT와 같은 일부 프로젝트는 정보 공개 부족으로 인해 의문을 제기받았습니다.
DAI, USDS와 같은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ETH, stETH와 같은 온체인 암호화폐 자산을 담보로 사용하여 초과 스테이킹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생성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고도로 탈중앙화 있으며 자금은 자체적으로 관리되지만, 기초 자산의 변동성으로 인해 청산 리스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담보 효율성이 낮아 대규모 사용에 제약이 있습니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예: 붕괴된 TerraUST)은 시스템 알고리즘을 통해 공급과 수요를 조정하여 가격 고정을 유지하려고 노력해 왔지만, 시장의 신뢰가 부족할 경우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이 높아 최근 몇 년 동안 점진적으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일부 프로젝트(예: 초기 FRAX)는 부분적인 알고리즘 메커니즘을 사용하지만, 더욱 엄격해진 규제 요건에 적응하기 위해 현재는 100% 담보로 전환되었습니다.
RWA 기반 스테이블코인(USD1, Frax V3, sDAI 등)은 블록체인과 기존 금융 자산을 결합하여 단기 미국국채 및 머니마켓펀드(MMF)와 같은 실물 자산을 담보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스테이블코인은 보안 및 규정 준수 측면에서 명백한 이점을 제공하며 정책적으로 점점 더 선호되고 있지만, 중앙 집중식 수탁 및 감사 의존성과 같은 문제점도 있습니다.
이자 발생 스테이블코인(예: USDe, USDY)은 스테이블코인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수익 함수를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프로토콜에 예치하면 자동으로 이자를 획득합니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은 기본적인 앵커링 요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포지션을 유지하고 고정하도록 유도하여 안정성과 사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자 발생원(예: 프로토콜 수익, RWA 수익 등)이 지속 가능하지 않을 경우, 특히 극심한 시장 상황에서는 상환 압력과 리스크 초래하여 상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스테이블코인의 미래 개발 추세는 더욱 투명하고, 규정을 준수하며, 보안성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자산 보유액과 RWA 스테이블코인은 정책에 따라 시장 규모가 확대될 수 있으며,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은 탈중앙화 에서 계속해서 가치를 발휘할 것입니다. 각 유형은 고유한 적용 시나리오와 리스크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와 개발자는 각자의 필요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합니다.
2.8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위에서 언급한 전통적인 스테이블코인 유형 외에도,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테이블코인이라는 개념이 최근 몇 년 동안 대중의 눈에 점차 나타났습니다.
2.8.1 프로그래밍 가능한 통화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화폐의 역할은 더 이상 단순한 전자 화폐가 아니라, 자체적인 규칙을 갖는 능력을 점차 갖추게 되었습니다. 즉, 화폐 자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고 지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라고 하며, 화폐와 프로그램 코드를 결합하여 자금 사용을 더욱 유연하고 안전하며 지능적으로 만듭니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라는 아이디어는 비트코인 초창기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일부 기술 커뮤니티에서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자금을 이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 스크립팅 언어의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는 항상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2015년, 이더 스마트 계약을 도입했습니다. 스마트 계약은 기술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화폐를 최초로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만들어 특정 조건 하에서 화폐를 자동으로 이체, 동결, 소멸시킬 수 있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작업을 완료한 후에만 지불하거나, 특정 시점에 자금이 자동으로 잠금 해제되는 등 복잡한 로직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화폐는 단순히 유통될 뿐만 아니라 규칙을 자동으로 준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DeFi 프로토콜의 등장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했습니다. 대출 청산, 수익 분배, 스테이킹 해제에 이르기까지 DeFi는 스마트 계약을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자산을 관리하고 실행합니다. 디지털 자산의 사용 로직은 더욱 복잡해졌으며, 자동화된 화폐 운영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디지털 화폐(CBDC)를 홍보할 때 프로그래밍 가능 기능의 가치에 점점 더 주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RMB)는 이미 특정 용도 지정 및 일부 상황에서 정기적인 만기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유럽중앙은행(ECB)의 디지털 유로화 또한 사용 제한 기능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프로그래밍 가능 화폐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8.2 스테이블코인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추세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라는 개념이 점차 구현됨에 따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 중 하나인 스테이블코인 또한 더욱 스마트하고 통제 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핵심 장점은 미국 달러나 유로와 같은 법정화폐에 가격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변동성 헤지, 결제, 자산 가격 결정의 핵심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거래소 에서 자산을 매매하든, DeFi 프로토콜에서 대출 및 스테이킹 하든, 스테이블코인은 기본적인 온체인 달러 역할을 합니다.
스테이블코인 자체는 개방적이고 투명한 블록체인 온체인 운영되지만, 그 기능은 여전히 비교적 단순합니다.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이체 및 거래가 가능한 토큰일 뿐이며, 심층적인 통제 기능이 부족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온체인 에서 어떤 주소로 자금이 이체되었는지 추적할 수는 있지만, 해당 자금이 지정된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며,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상황에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