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소법원은 암호화폐 친화적인 접근 방식으로 유명한 커스토디아 은행에 대해 연방준비제도의 입장에 유리한 불리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미국 제10순회 항소법원은 7월 7일 미국 와이오밍 지방법원의 판결을 지지했습니다. 이 사건은 연방준비제도가 커스토디아 은행의 주 계좌 개설 신청을 기각한 후 커스토디아 은행이 제기한 항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커스토디아 은행은 2020년 10월 최초 신청 이후 수년간 법적 공방을 벌여 왔습니다.
판결문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사건은 암호화폐, 디지털 자산, 즉시 이체, 마스터 계좌 등 21세기 전문 용어로 가득 차 있지만, 분쟁의 본질은 역사적인 문제입니다. 미국 중앙은행의 정당성은 국가 건국 초기부터 이미 검증을 받고 있었습니다."
커스토디아 은행(Custodia Bank)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탄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와이오밍주에서 인가받은 "특수 목적 예금 기관"입니다. 설립자 케이틀린 롱은 규제 기관과의 협력을 꾸준히 강조하며, 자신을 "암호화폐 세계와 전통 금융을 잇는 다리"라고 표현해 왔습니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Fed)는 "통화 정책 리스크 및 자금세탁 방지 우려"를 이유로 커스토디아 은행에 마스터 계좌를 발급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거부해 왔습니다.
시장 분석가들은 이번 판결이 암호화폐 기업들이 미국 금융 시스템에 편입되는 데 여전히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합니다. 특히 커스토디아 사건은 규제 불확실성이 암호화폐 산업이 주류 금융 시스템에 편입되는 데 여전히 큰 걸림돌로 남아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은행의 은행 인프라 접근성이 제한적이라는 사실에서 드러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