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estia는 데이터 가용성에 초점을 맞춘 모듈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아키텍처 측면에서 주로 합의 계층과 데이터 가용성 계층의 기능을 가정하고, 실행 계층과 결제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Sovereign Rollup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이더리움 기술의 발전과 롤업의 실천으로 인해 현재의 모듈형 블록체인 개념이 점차 가능해지고 있으며 미래 퍼블릭 체인 트랙의 중요한 개발 방향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동시에 프로젝트 팀 자체가 뛰어난 배경과 탄탄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젝트가 곧 메인 네트워크에 출시될 예정이므로 Celestia에 집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투자 요약
Celestia는 데이터 가용성에 초점을 맞춘 모듈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아키텍처 측면에서 주로 합의 계층과 데이터 가용성 계층의 기능을 가정하고, 실행 계층과 결제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Sovereign Rollup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팀과 자금 측면에서 Celestia는 우수한 기술적 배경과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개발 리듬을 유지해 왔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연구 보고서(2022년 3월 2 일 First Class Warehouse 공식 웹사이트 에 처음 게시됨)와 비교하여 Celestia는 자금 조달 금액과 팀원 수를 모두 크게 늘렸습니다. 중장기적으로 여전히 가능합니다. 좋은 발전을 유지하세요.
제품과 기술의 관점에서 볼 때,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과 네임스페이스 Merkle 트리는 합의 계층 및 데이터 가용성 계층으로서 Celestia의 탈중앙화 및 보안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보장하는 반면, Sovereign Rollup은 Celestia의 실행을 보장합니다. 모듈형 블록체인으로서 블록체인의 불가능한 삼각형 문제에 잘 대처할 수 있으므로 향후 좋은 개발 전망과 개발 가능성을 가질 것입니다.
프로젝트 개발의 관점에서 볼 때 Celestia는 아직 테스트 네트워크 단계에 있으며, 메인 네트워크가 곧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테스트 네트워크에는 상대적으로 중앙 집중화된 노드가 있지만 Celestia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데이터 가용성 구현 솔루션 덕분에 다양한 Celestia 노드를 운영하기 위한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미래에는 네트워크 처리량을 더욱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분산화 및 보안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Celestia의 소셜 미디어는 현재 많은 수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커뮤니티가 상대적으로 활발하여 프로젝트 생태계의 향후 개발에 확실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의 배치로 볼 때 셀레스티아 생태계는 아직 매우 초기 단계에 있으며, 생태 프로젝트는 주로 기술 관련 인프라로 사용자가 실제로 생태계를 경험할 수 있는 지점과는 거리가 멀다.
응용 프로젝트는 여전히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토큰 경제학의 관점에서 볼 때 Celestia의 토큰 할당은 상대적으로 평균적이며, 투자자와 팀이 공동으로 토큰의 절반 이상을 받고 이 토큰의 33%가 1년 후에 잠금 해제됩니다. Celestia의 토큰 수요는 기본적으로 일반 퍼블릭 체인 토큰의 설계 아이디어와 일치합니다. TIA는 합의, 수수료 및 거버넌스의 기능을 맡으며 인플레이션 형태로 추가 토큰을 발행합니다. 현재 이 토큰의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토큰 자체는 네트워크에 더 많은 권한을 제공할 수 없으며 대신 토큰은 경제 모델의 선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네트워크 개발에 의존해야 합니다.
트랙의 관점에서 볼 때, 롤업의 성공적인 실행과 이더리움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모듈형 블록체인은 미래 블록체인 아키텍처 개발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가 될 것이며 Celestia는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현재 경쟁 프로젝트에 비해 Celestia의 데이터 가용성 구현 솔루션은 임계값이 낮고 개발 진행 속도가 빠르지만 상한값은 KZG 다항식 약속을 사용하는 다른 솔루션만큼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는 프로젝트 자체의 개발 진행 상황과 이더리움의 칸쿤 업그레이드에 계속해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Rollup을 포함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트랙 개발. 또한 단기적으로 약세장이 지속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잠재력 발현은 여전히 시장 회복과 기반 기술 축적을 기다리고 있다.
요약하자면, Celestia 프로젝트는 주목할 만합니다.
1. 기본 개요
1.1 프로젝트 소개
Celestia는 데이터 가용성에 초점을 맞춘 모듈형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아키텍처 측면에서 주로 합의 계층과 데이터 가용성 계층의 기능을 가정하고, 실행 계층과 결제 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Sovereign Rollup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현재 프로젝트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으며 곧 메인넷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1.2 기본 정보 [1]
2. 프로젝트 내용
2.1 팀
Celestia의 팀은 영국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LinkedIn에 공개된 팀 구성원은 40명, 공식 웹사이트에는 총 46명 [2] 명입니다. 주요 멤버들의 자세한 배경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Mustafa Al-Bassam — 공동 창립자 겸 CEO는 King's College London에서 컴퓨터 과학 학사 학위를, University College London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알 바삼은 16세 때 유명 해커 조직인 룰즈섹(LulzSec)의 창립자이자 핵심 멤버로 오랫동안 해킹 활동을 해왔다. 알바삼은 2018년 8월 블록체인 확장 연구팀인 체인스페이스(Chainspace) 창립에 참여했으며, 2019년 페이스북에 인수됐다. Al-Bassam은 2019년 5월 LazyLedger 논문을 발표했고, 같은 해 9월에는 LazyLedger(이후 Celestia로 개명) 창립에 참여해 현재까지 CEO를 맡고 있습니다.
Ismail Khoffi — 공동 창립자이자 CTO , 본 대학에서 수학과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졸업 후 그는 오랫동안 소프트웨어 개발과 컴퓨터 기술 연구에 종사해 왔습니다. 2018년 Ismail Khoffi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하기 위해 Tendermint에 합류했으며, 2019년에는 Interchain Foundation에 수석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로 합류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LazyLedger(이후 Celestia로 개명) 창립에 참여하여 현재까지 CTO를 역임했습니다.
John Adler — 공동 창립자이자 CRO , 공학 학사, 전기 및 컴퓨터 공학 석사, 토론토 대학 박사. 졸업 후 그는 연구원 및 개발 엔지니어로 Consensys에 입사하여 2계층 확장성에 대한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2020년에는 John Adler가 Fuel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수석 과학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같은 해 John Adler는 LazyLedger를 공동 창립했으며 현재까지 최고 연구 책임자(CRO)를 맡고 있습니다.
Nick White — COO는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전기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하모니 프로토콜의 공동 창립자. 2021년 셀레스티아에 입사해 현재까지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고 있다.
팀 관점에서 볼 때, 핵심 팀원들은 모두 깊은 기술 및 산업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첫 번째 연구 보고 당시와 비교하여 Celestia의 팀 규모가 크게 늘어났으며, 특히 현재 20명 이상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개발 팀이 더욱 그렇습니다. 엔지니어이기 때문에 프로젝트는 현재 좋은 개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2 자금
지금까지 Celestia는 두 차례의 자금 조달을 공개하여 총 5,650만 달러를 모금했습니다. 투자 기관에는 Binance Labs, Polychain Capital, Protocol Labs 및 Delphi Digital 등이 포함됩니다. 종합해보면, Celestia는 좋은 자본 배경을 갖고 있으며, 총 금액은 장기적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2.3 코드
그림 2–1 Celestia 코드 제출 상태 [3]
그림 2–2 Celestia 코드 기여자
Celestia의 소스코드는 GitHub에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으며, 개발 상황으로 볼 때 Celestia의 코드 개발 상태는 양호합니다. 총 25,707건의 코드 제출이 있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8,410건의 코드 제출이 있었습니다. 현재 1인당 평균 개발자 수는 월은 수백입니다. 위아래로.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Celestia의 코드 제출 수와 개발자 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몇 년간 Mamaki 테스트 네트워크 개발에 해당하는 2022년 5월과 두 번의 개발 피크가 있었습니다. 다른 하나는 모듈식 롤업 롤킷 및 인센티브 테스트넷 개발에 맞춰 2023년 3월이 될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Celestia의 현재 코드 개발은 잘 진행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2.4 제품 및 기술
Celestia는 모듈형 블록체인입니다. 기능적 관점에서 볼 때 소위 모듈화는 모듈형 블록체인 자체가 더 이상 모든 온체인 작업(실행, 결제, 합의 및 데이터 가용성)을 독립적으로 완료하지 않고 특정 기능에 적응하기 위해 전문적인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그림 2-3 모놀리식 블록체인과 모듈러 블록체인의 차이점 [4]
확장성 측면에서 모듈식 블록체인은 더 나은 구성성을 갖게 되며, 여러 모듈식 블록체인을 빌딩 블록처럼 결합하여 모놀리식 블록체인이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더 나은 크로스체인 및 멀티체인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그림 2-4 모놀리식 블록체인과 모듈형 스택
모듈형 블록체인에는 세 가지 중요한 원칙이 있습니다.
1) 모듈형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노드를 실행하고 네트워크를 검증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분산화합니다.
2) 모듈형 블록체인은 사용자 검증 비용을 늘리거나 네트워크를 보호하지 않고도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높일 것입니다.
3) 모듈형 블록체인은 분산형 사용자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보안을 책임집니다.
위의 세 가지 원칙은 각각 블록체인의 불가능 삼각형에 있는 분산화, 확장성 및 보안에 해당합니다.
이론적으로 롤업은 모듈식 블록체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관행이기도 합니다. Optimistic-Rollup과 ZK Rollup은 모두 이더리움을 합의 레이어로 사용하여 보안을 보장하는 네트워크 실행을 전문화합니다. 레이어 기능을 통해 개발을 촉진합니다. Layer1 및 Layer2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합니다. 그리고 향후 칸쿤 업그레이드와 EIP-4844 Proto-Danksharding 구현을 통해 이더리움은 새로운 트랜잭션 유형을 선보일 예정이며, 사용자는 이전처럼 Layer1에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지 않고 Blob이라는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이는 거래 비용을 크게 절감할 것이며, 이더리움 자체의 형태는 모듈형 블록체인에 더 가까워질 것입니다.
Celestia는 처음부터 모듈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모듈식 블록체인으로서 기능면에서 대부분의 모놀리식 퍼블릭 체인과 다른 방향을 택하여 합의 및 데이터 가용성에 중점을 두는 것을 선택했으며, 데이터 가용성(DA) 레이어가 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네트워크에 실행 계층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Rollup을 사용합니다. 즉, Celestia 네트워크는 트랜잭션의 데이터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트랜잭션을 정렬하는 역할과 데이터 가용성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두 가지 역할만 담당합니다. 라이트 노드에는 소량의 리소스만 필요합니다. 블록은 데이터 가용성을 증명합니다.
그림 2–5 Celestia 네트워크 아키텍처
데이터 가용성 계층 역할을 합니다. Celestia는 PoS 합의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개발을 위해 Cosmos SDK를 사용하지만 Tendermint의 합의 알고리즘을 일부 수정했습니다. 수정된 Tendermint 합의 알고리즘인 Celestia Core에는 데이터 가용성 문제에 대한 Celestia 솔루션의 두 가지 핵심 사항인 DAS(Data Availability Sampling)와 NMT(Namespaced Merkle Trees)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4.1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DAS)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라이트 노드는 블록 데이터(예: 거래 목록) 확약(예: 머클 루트)이 포함된 블록 헤더만 다운로드하므로 라이트 노드는 블록 데이터의 실제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데이터 가용성을 확인합니다.
그러나 2차원 리드 솔로몬 인코딩 방식(2차원 리드 솔로몬 인코딩 방식)을 적용한 후에는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을 위해 라이트 노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1) 먼저, 각 블록의 데이터를 k*k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k*k 행렬로 배열한 후, RS 삭제 코드를 여러 번 적용하여 블록 데이터가 포함된 이러한 k*k 행렬을 다음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2k*2k 행렬.
2) 그런 다음 Celestia는 이 2k*2k 행렬의 행과 열에 대한 4k 개별 머클 루트를 블록 헤더의 블록 데이터 약속으로 계산합니다.
3) 마지막으로 데이터 가용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Celestia의 라이트 노드는 2k*2k 데이터 블록을 샘플링합니다. 각 라이트 노드는 이 매트릭스에서 고유한 좌표 집합을 무작위로 선택하고 모든 노드의 데이터를 쿼리합니다. 좌표의 해당 머클 증명은 노드가 각 샘플링 쿼리에 대해 유효한 응답을 받으면 블록이 데이터 가용성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올바른 머클 루트 증명을 수신하는 모든 데이터 블록은 네트워크에 전파되므로 라이트 노드가 충분한 데이터 블록을 함께 샘플링할 수 있는 한(즉, 최소 k*k개의 고유 데이터 블록) 완전한 블록이 생성됩니다. 정직한 풀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그림 2-6 2차원 RS 삭제 코딩 방식 [5]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을 구현하면 데이터 가용성 계층으로서 Celestia의 확장성이 보장됩니다. 각 라이트 노드는 블록 데이터의 일부만 샘플링하면 되므로 라이트 노드와 전체 네트워크를 실행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절감됩니다. 동시에 샘플링에 참여하는 라이트 노드가 많을수록 함께 다운로드하고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가 많아지며, 이는 라이트 노드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TPS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4.2 네임스페이스 머클 트리(NMT)
데이터 가용성은 데이터 가용성 검증 문제만 해결할 수 있는 반면, 실행 계층 및 결제 계층의 비용을 줄이는 것은 네임스페이스 메르켈 트리 솔루션에 맡깁니다.
Celestia는 블록 내 데이터를 여러 개의 네임스페이스로 나누고, 각 네임스페이스는 Celestia를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로 사용하는 실행 레이어와 결제 레이어에 해당하므로, 각 실행 레이어와 결제 레이어는 자신과 관련된 데이터만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직설적으로 말하면 Celestia는 이를 기본 레이어로 사용하는 각 사용자에 대해 별도의 폴더를 만든 다음 Merkle 트리를 사용하여 이러한 사용자의 폴더를 색인화하여 이러한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을 찾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어진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데이터를 반환할 수 있는 이러한 종류의 머클 트리를 네임스페이스 머클 트리라고 합니다. 이 Merkle 트리의 잎은 네임스페이스 식별자별로 정렬되며 트리의 각 노드가 모든 하위 항목의 네임스페이스 범위를 포함하도록 해시 함수가 수정됩니다.
그림 2–7 네임스페이스 머클 트리 예
그림 2-7의 네임스페이스 머클 트리 예시를 보면, 8개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머클 트리는 세 개의 네임스페이스로 나뉩니다.
네임스페이스 2의 데이터가 요청되면 데이터 가용성 계층, 즉 Celestia는 D3, D4, D5 및 D6 데이터 블록을 여기에 제출하고 노드 N2, N7 및 N8은 해당 인증서를 제출하여 데이터를 보장합니다. 요청한 데이터의 가용성.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네임스페이스 2의 모든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 블록이 노드의 증명과 일치해야 하므로 해당 노드의 네임스페이스 범위를 확인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Celestia는 데이터 가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 및 네임스페이스 Merkle 트리에 의존한 후 데이터 가용성 계층 위의 실행 계층 적용에 중점을 두고 Sovereign Rollups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2.4.3 소버린 롤업
Celestia가 제안한 Sovereign Rollup은 현재 Ethereum의 롤업과 정확히 동일하지 않습니다.
Ethereum의 일반적인 롤업은 Celestia의 Smart Contract Rollup이라고 하며, 이는 전체 블록을 결제 계층에 게시한 다음 결제 레이어에서 블록을 정렬하고, 데이터의 가용성을 확인하고, 거래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위의 정산 계층 작업은 모두 정산 계층의 스마트 계약 세트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정산 계층의 스마트 계약은 이러한 스마트 계약 롤업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그림 2–8 이더리움 및 스마트 계약 롤업 아키텍처 1
그림 2–8 이더리움 및 스마트 계약 롤업 아키텍처 2
이러한 스마트 계약 롤업 아키텍처는 레이어 1 노드가 각 거래를 독립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Optimistic Rollup 또는 ZK Rollup에 의해 제출된 증명은 블록 자체가 유효한지 여부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Layer1의 검증 노드가 특정 트랜잭션을 조사하려는 경우 기본 신뢰 최소화 브리지에 의존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전용 소수 참여자의 정직한 행동에 의존하여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overeign Rollups는 Smart Contract Rollup과 달리 Rollups에 결제 레이어를 포함합니다. [6]
그림 2–9 소버린 롤업 아키텍처 1
그림 2–10 소버린 롤업 아키텍처 2
Sovereign Rollup의 아키텍처에서 Sovereign Rollup은 실행 및 정산을 담당하고, 데이터 가용성 계층(예: Celestia)은 합의 및 데이터 가용성을 처리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Celestia는 더 이상 Sovereign Rollup의 거래가 올바른지 확인하지 않고 거래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Sovereign Rollup의 검증 노드에 반환하며, 이러한 검증 노드는 거래의 정확성을 검토하고 거래를 수락하거나 거부하도록 선택합니다. , Sovereign Rollup과 해당 데이터 가용성 계층 사이에 기본 신뢰 최소화 브리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Sovereign Rollup과 Smart Contract Rollup의 가장 큰 차이점은 거래의 정확성을 누가 검증하느냐는 것입니다.Smart Contract Rollup 아키텍처에서는 향후 결제 계층의 스마트 계약이 이 기능을 수행하지만 Sovereign Rollup에서는 이 기능을 수행합니다. 아키텍처에 따라 Sovereign Rollup의 자체 검증 노드가 이 기능을 맡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Sovereign Rollup은 Smart Contract Rollup보다 더 높은 자유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mart Contract Rollup의 업그레이드에는 스마트 계약의 변경이 포함되므로 결제 계층의 합의에 의해 제한되어야 하지만 Sovereign Rollup은 이러한 우려가 없으며 Layer1 블록체인처럼 포크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 이는 노드가 더 많은 자율성을 갖도록 허용합니다.
요약하다
팀과 자금 측면에서 Celestia는 우수한 기술적 배경과 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개발 리듬을 유지해 왔습니다. 첫 번째 연구 보고서에 비해 Celestia는 자금 조달 금액과 팀원 모두 크게 증가했으며 중장기적으로 여전히 좋은 개발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제품과 기술의 관점에서 볼 때,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과 네임스페이스 Merkle 트리는 합의 계층 및 데이터 가용성 계층으로서 Celestia의 탈중앙화 및 보안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보장하는 반면, Sovereign Rollup은 Celestia의 실행을 보장합니다. 모듈형 블록체인으로서 블록체인의 불가능한 삼각형 문제에 잘 대처할 수 있으므로 향후 좋은 개발 전망과 개발 가능성을 가질 것입니다.
3. 개발
3.1 역사
표 3-1 Celestia의 주요 사건
3.2 현재 상황
3.2.1 운영 데이터
그림 3–1 Celestia 테스트넷 상태 1 [7]
그림 3–2 Celestia 테스트넷 상태 2
Celestia는 아직 테스트넷 단계에 있으며, 조만간 메인넷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테스트 네트워크는 총 261,495개의 블록이 생산되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총 약속된 토큰 금액은 약 389,580,000 TIA입니다. 초기 검증자 노드는 100개이며 그 중 상위 9개 노드가 네트워크의 60.57%를 차지합니다. 공유.테스트 네트워크 센터 문화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그림 3–3 Celestia 테스트넷 노드 순위
Celestia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이점을 활용하면 Celestia의 라이트 노드 작동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낮아 최소 2GB RAM 메모리, 단일 코어 CPU, 25GB 이상의 SSD 하드 드라이브, 56Kbps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라이트 노드 외에도 브리지 노드, 전체 노드, 검증 노드 및 합의 노드에 대한 Celestia의 요구 사항은 다른 퍼블릭 체인에 비해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향후 Celestia 메인넷이 출시되면 네트워크 내 다양한 유형의 노드 수가 더욱 증가하고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정도도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3–4 Celestia 노드 작동 요구 사항 [8]
현재 Celestia에는 50개의 [9] 프로젝트가 배포되거나 배포 예정으로 발표되어 있습니다: 서비스형 롤업(RaaS) 프로젝트 5개, 시퀀서 네트워크 프로젝트 3개, 결제 계층 네트워크 프로젝트 5개, 롤업 프레임워크 프로젝트 5개(Cosmos SDK 포함) , OP Stack, Rollkit, Sovereign 및 Stackr(Celestia 개발), 가상 머신 프로젝트 3개, 크로스체인 프로젝트 6개, 지갑 프로젝트 3개, DeFi 프로젝트 5개, 게임 프로젝트 5개, 기본 프로젝트 10개 시설 프로젝트.
Celestia의 프로젝트는 여전히 주로 기술 인프라 프로젝트이며 실제 사용자 중심 애플리케이션 Dapp은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2.2 소셜 미디어 규모
표 3–2 Celestia 소셜 미디어 데이터
2023년 10월 12일 현재 Celestia는 많은 수의 소셜 미디어 팔로어, 활발한 상호 작용 및 다수의 공식 커뮤니티 토론을 보유하고 있으며 콘텐츠는 주로 기술 개발 및 토큰 에어드랍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3.3 미래
Celestia는 다음 로드맵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현재 알려진 정보에 따르면 Celestia는 10월 17일 12:00 UTC에 TIA 토큰 에어드랍을 종료하고 곧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현재 알려진 6천만 개의 TIA 토큰에 대한 에어드랍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1월 1일 현재 에어드랍 스냅샷에는 이더리움, 롤업, 코스모스 허브 및 삼투에 대한 총 576,653개의 온체인 주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표 3–2 Celestia TIA 토큰 에어드롭 계획
요약하다:
프로젝트 개발의 관점에서 볼 때 Celestia는 아직 테스트 네트워크 단계에 있으며, 메인 네트워크가 곧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테스트 네트워크에는 상대적으로 중앙 집중화된 노드가 있지만 Celestia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데이터 가용성 구현 솔루션 덕분에 다양한 Celestia 노드를 운영하기 위한 하드웨어 요구 사항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미래에는 네트워크 처리량을 더욱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분산화 및 보안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Celestia의 소셜 미디어는 현재 많은 수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커뮤니티가 상대적으로 활발하여 프로젝트 생태계의 향후 개발에 확실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 배치로 볼 때 Celestia 생태계는 아직 매우 초기 단계에 있으며, 생태 프로젝트는 주로 기술 관련 인프라이므로 사용자가 생태계에서 실제로 응용 프로젝트를 경험하기까지는 여전히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4. 경제 모델
Celestia의 기본 토큰은 TIA 이며, 초기 총 공급량은 1,000,000,000입니다 . TIA 토큰은 아직 유통되지 않았으며, 에어드랍은 2023년 10월 17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향후 TIA 토큰은 인플레이션 형태로 발행될 예정이며, 인플레이션율은 연간 8%에서 시작하여 매년 10%씩 감소하여 연간 인플레이션율 1.5%에 도달합니다.
4.1 공급
4.1.1 TIA 토큰 배분 [10]
표 4–1 TIA 토큰 분배
그림 4–1 TIA 토큰 할당 차트
그림 4–2 TIA 토큰 잠금 해제 시간 차트
토큰 할당의 관점에서 볼 때 TIA 토큰은 주로 투자자와 팀, 재무부, 마지막으로 생태계에 할당되며 모든 토큰은 4년 안에 완전히 잠금 해제됩니다. 즉, 토큰이 온라인 상태가 된 후, 특히 투자자 후에 1년 후 팀 토큰이 잠금 해제되기 시작하면 TIA는 상대적으로 큰 판매 압력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현재 토큰 배포 규칙에 따라 추정하면 TIA의 초기 토큰 유통량은 에어드롭된 74,000,000개의 토큰과 재무부에서 잠금 해제된 67,000,000개의 토큰을 포함하여 141,000,000개입니다.
4.2 요구사항
수요의 관점에서 볼 때 TIA 토큰의 주요 기능은 첫째, 네트워크 형태를 유지하고 노드의 운영을 촉진하는 것, 둘째, 네트워크 서비스를 청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토큰 역할을 하는 것, 셋째, 분산형 거버넌스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
구체적으로 Celestia는 PoS 합의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검증 노드의 수는 초기에 100개입니다. 따라서 노드는 네트워크 합의에 참여하고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서약 보상을 얻기 위해 TIA 토큰을 서약해야 합니다. 동시에 사용자는 자신의 TIA를 해당 노드에 위임하여 노드가 획득한 서약 보상을 공유함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을 보호할 수도 있습니다.
그림 4–3 TIA 토큰 인플레이션 차트
스테이킹 보상은 TIA 토큰이 인플레이션 형태로 발행되며, 인플레이션율은 연간 8%에서 시작하여 매년 10%씩 감소하여 연간 인플레이션율 1.5%에 도달합니다. 연간 인플레이션 준비금은 매년 초 총 TIA 공급량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Celestia는 블록 높이가 아닌 블록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이 시간을 정의하며 블록 간 시간이 다양하므로 실제 발행량도 달라집니다. 목표치보다 약간 높을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가 형성된 후 Celestia를 데이터 가용성 계층으로 사용해야 하는 모든 롤업 프로젝트는 네트워크에서 PayForBlobs 트랜잭션을 제출해야 하며, 이 트랜잭션은 TIA에서 청구하며 이는 개발자에게 네트워크 사용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Celestia의 가스 수수료도 TIA 형식으로 계산되며 Celestia는 표준 가스 가격 우선 메모리 풀을 사용하며 검증자는 패키징 수수료가 더 높은 거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합니다. 거래당 총 지불금 수수료에는 고정 가스 수수료와 거래의 각 덩어리 크기에 따른 변동 수수료가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Celestia는 커뮤니티 분산형 거버넌스로 전환할 것입니다. 커뮤니티는 거버넌스 제안을 통해 네트워크의 중요한 매개변수에 대해 투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뮤니티는 블록의 2%에 할당될 추가 자금 풀을 갖게 됩니다. .
요약하다
토큰 경제의 관점에서 볼 때 Celestia의 토큰 배포는 비교적 일반적이며 투자자와 팀은 토큰의 절반 이상을 받게 되며 이 토큰의 33%는 1년 후에 잠금 해제됩니다. Celestia의 토큰 수요는 기본적으로 일반 퍼블릭 체인 토큰의 설계 아이디어와 일치합니다. TIA는 합의, 수수료 및 거버넌스의 기능을 맡으며 인플레이션 형태로 추가 토큰을 발행합니다. 현재 이 토큰의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토큰 자체는 네트워크에 더 많은 권한을 제공할 수 없으며 대신 토큰은 경제 모델의 선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네트워크 개발에 의존해야 합니다.
5. 추적
5.1 트랙 개요
트랙 관점에서 볼 때 Celestia는 퍼블릭 체인 트랙에 통합되어야 하지만 Celestia는 이전의 모놀리식 퍼블릭 체인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합의 레이어와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에 초점을 맞춘 모듈로 별도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분할은 아직 매우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그림 5-1 모듈형 블록체인 트랙의 전경 [11]
Messari가 제작한 트랙 파노라마에서 모듈형 블록체인 트랙에는 기본적으로 Optimism, Arbitrum, Polygon, zkSync, StarkNet 등을 포함하여 현재 2차 트랙과 관련된 주요 프로젝트와 관련 트랙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레이어 Rollup의 성공적인 실행은 모듈형 블록체인 개념에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Rollup은 이더리움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현재 Ethereum만이 Rollup이 번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시장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Rollup은 Celestia와 같은 모듈형 블록체인에 배포되어 더 높은 자유도, 더 빠른 효율성 및 더 낮은 비용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Celestia 자체의 개발뿐만 아니라 관련 트랙, 특히 Celestia의 모듈형 블록체인 개념 실현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Rollup 트랙 개발의 역할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5.2 트랙의 경쟁 제품
경쟁 제품의 관점에서 보면 Celestia의 주요 경쟁 제품은 Proto-Danksharding을 완료한 후 현재 Ethereum, Polygon Avail, EigenDA, Arbitrum Nova 및 zkPorter입니다.
이러한 경쟁 제품들 간에는 데이터 가용성 구현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주로 데이터 복구 방법 과 데이터 샘플링 방법 에 반영됩니다.
Celestia는 데이터 복구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2차원 RS 삭제 코딩 방식인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 방식을 사용하며, 라이트 노드가 무작위 샘플링을 통해 블록 데이터를 획득하고 낙관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가용성 증명을 제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현재 RS 삭제 코딩과 낙관적 증명의 실행은 상당한 수준의 성숙도에 도달했습니다.
이더리움의 Proto-Danksharding 역시 DAS(Data Availability Sampling) 체계를 사용하며 RS 삭제 코딩 체계를 사용하여 데이터 복구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그러나 Celestia와 달리 이더리움은 데이터 가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KZG 약속을 사용합니다. 솔루션, KZG( Kate Zaverucha Goldberg) 다항식 확약은 영지식 증명 시스템으로 Optimistic Rollup과 ZK Rollup의 차이와 유사하며 Optimistic Proof 구현을 위한 기술적 문턱은 낮습니다. KZG 다항식 확약의 기술적 문턱은 높지만, 증거 제출이 더 빠릅니다. 이더리움용 Proto-Danksharding은 2023년 4분기 칸쿤 업그레이드에 배포될 예정입니다.
Polygon Avail은 이제 Polygon으로부터 독립된 프로젝트가 되었습니다. 또한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 방식을 사용합니다. 구체적인 구현 방법은 Proto-Danksharding과 유사하며 RS 삭제 코딩 방식과 KZG 다항식 약속도 포함됩니다. Avail은 아직 테스트넷 단계에 있지만 인센티브 테스트넷 및 토큰 경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곧 공개할 예정입니다.
EigenDA는 Eigenlayer의 주력 제품입니다. 해당 솔루션은 Ethereum의 Proto-Danksharding과 동일한 계보에서 파생되었으며 RS 삭제 코딩 체계와 KZG 다항식 약속도 사용합니다. EigenDA는 아직 테스트넷 단계이며, 2023년 8월 말 테스트넷이 런칭될 예정이므로 메인넷 런칭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예정입니다.
Arbitrum Nova는 데이터 가용성 구현 방식에서 위의 4개 프로젝트와 완전히 다르며, 외부 데이터 가용성 위원회가 거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데이터 가용성 위원회 모델을 채택하며 최소 6명 이상으로 구성됩니다. (총 회원 수는 7명)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BLS 서명을 제출합니다.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DAS) 방식과 비교하면 데이터 가용성 위원회 방식은 비용이 저렴하지만 상대적으로 말하면 분산화와 보안이 희생됩니다. Arbitrum Nova는 이제 메인 네트워크에서 출시되었지만 위에서 언급한 프로젝트와 경쟁하지 않으며 데이터 가용성 솔루션만을 나타냅니다.
zkSync가 제안하는 zkPorter는 다른 데이터 가용성 구현 방법보다 더 복잡하며 ZK Rollup과 샤딩을 결합하여 데이터 가용성 문제를 해결하는 설계입니다. 샤드 수에 제한 없이 지원할 수 있으며 각 샤드는 자체 데이터 가용성 체계를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마트 계약 구축에 있어 더 높은 수준의 자유를 보장합니다. zkPorter는 zkSync Era와 함께 메인넷에 출시되었지만 위에서 언급한 프로젝트와 경쟁하지 않으며 데이터 가용성 솔루션만을 대표합니다.
현재 모든 데이터 가용성 구현 솔루션 중에서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과 KZG 다항식 약속이 가장 주류 솔루션으로, 이는 데이터 가용성을 보장하면서 노드 비용을 줄이고 증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Celestia가 선택한 낙관적 증명의 구현 임계값은 KZG 다항식 공약보다 낮고 기술 성숙도는 높지만 향후 기술 한계는 KZG 다항식 공약만큼 좋지 않습니다. 동일한 유형의 Avail 및 EigenDA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Celestia의 개발 진행은 현재 더 빠르며 메인 네트워크에 더 일찍 출시될 예정이지만 Celestia는 칸쿤 업그레이드 이후 Ethereum과 직접적인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요약하다
트랙의 관점에서 볼 때, 롤업의 성공적인 실행과 이더리움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모듈형 블록체인은 미래 블록체인 아키텍처 개발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가 될 것이며 Celestia는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현재 경쟁 프로젝트에 비해 Celestia의 데이터 가용성 구현 솔루션은 임계값이 낮고 개발 진행 속도가 빠르지만 상한값은 KZG 다항식 약속을 사용하는 다른 솔루션만큼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프로젝트 자체의 개발 진행 상황과 이더리움의 칸쿤 업그레이드, Rollup을 포함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트랙 개발에 계속해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또한 단기적으로 약세장이 지속됨에 따라 프로젝트의 잠재력 발현은 여전히 시장 회복과 기반 기술 축적을 기다리고 있다.
6. 위험
1) 코드 위험: 현재 Celestia에서는 감사 보고서를 발행하지 않았으므로 코드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기술 성숙도 위험: 현재 Celestia는 아직 테스트 네트워크 단계에 있으며, 메인 네트워크가 온라인 상태가 되어 생산에 들어가기 전에 기술 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전히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3) 시장 위험: 현재 모듈형 블록체인 트랙은 아직 가장 주류 트랙 중 하나가 아니며 프로젝트의 기술 개발에는 여전히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술이 상용화되기 전에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큰 시장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구현되었습니다.섹스.
참고자료
셀레스티아 학습, https://celestia.org/learn
"Celestia 프로젝트 연구 보고서", 일류 창고
Celestia 문서, https://docs.celestia.org/
[1] https://www.coingecko.com/zh/%E6%95%B0%E5%AD%97%E8%B4%A7%E5%B8%81/mcdex#markets, 데이터 마감일은 2021년 5월 3월입니다. 20
[2] https://celestia.org/team/
[3] 그림 2–2 2–3은 모두 https://cauldron.io/ 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4] https://celestia.org/learn/beginners/modular-blockchains-for-beginners/
[5] https://docs.celestia.org/learn/how-celestia-works/data-availability-layer/
[7] https://celestia.explorers.guru/
[8] https://docs.celestia.org/nodes/overview/
[9] https://celestia.org/ecosystem
[10] https://docs.celestia.org/learn/stake-governance-supply/
[11] https://twitter.com/MessariCrypto/status/1699066238490804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