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체은행 전체 보고서: 중국의 "스푸트니크 모멘트"

이 기사는 기계로 번역되었습니다
원문 표시

작성자: 0xjs@ 진써차이징(Jinse)

"국가적 수준"의 기술적 돌파구인 딥시크(Deepseek)는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중국 자산 전체를 재평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2025년 2월 5일, 도이체은행은 "중국이 세계를 먹어치운다"라는 제목의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도이체은행은 2025년이 중국이 다른 국가를 앞지르는 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일주일 만에 세계 최초의 6세대 전투기와 저가 인공지능 시스템 "딥시크"를 출시했습니다. 마크 앤드레슨스는 DeepSeek의 출시를 AI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라고 불렀지만, 이는 중국의 "스푸트니크 순간"에 더 가깝습니다. 이는 중국의 지적 재산에 대한 인정을 의미합니다. 중국이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분야는 전례 없는 속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중국에는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 있으며, 중국 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함에 따라 중국의 가치 할인은 언젠가는 프리미엄으로 전환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중기적으로 중국 주식에 대한 투자를 크게 전환해야 하며, 홍콩/중국 주식은 중기적으로 큰 불장(Bull market) 가져올 것입니다.

연구 보고서의 제목은 a16z 설립자 마크 앤드레슨의 유명한 말인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집어삼킨다"에서 따왔으며, 연구 보고서의 첫 부분인 "이것은 AI가 아닌 중국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다"는 마크 앤드레슨의 최근 DeepSeek에 대한 발언인 "DeepSeek은 AI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다"에서 따왔습니다.

도이체은행의 연구 보고서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제: 중국이 세계를 먹어치운다

저자: Peter Milliken, CFA, 연구 분석가

이것은 AI가 아닌 중국의 "스푸트니크 모멘트"입니다.

우리는 투자 커뮤니티가 중국이 세계 다른 지역보다 성과가 좋다는 것을 깨닫는 해가 2025년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오늘날 중국 기업들이 많은 제조 분야에서, 심지어 점점 더 많은 서비스 분야에서도 더 나은 가치 대비 비용과 더 나은 품질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지배적인 위치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우리는 "중국 할인"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게다가 정책이 생산보다 소비를 선호하고, 잠재적으로 금융 자유화로 인해, 우리는 수익성이 경기 순환 내내 기대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합니다. 저희는 홍콩/중국 주식의 불장(Bull market) 2024년에 시작되어 중기적으로 이전 최고치를 넘어설 것으로 믿습니다.

중국은 처음에 의류, 섬유, 장난감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 리더로 부상했습니다. 이후 이 회사는 기본 전자, 철강, 조선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더 최근에는 백색 가전, 태양광 에너지 및 기타 덜 주목받는 분야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중국은 또한 아무런 경고도 없이 복잡한 통신장비, 원자력, 국방, 고속철도와 같은 산업을 장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성과는 이전에는 투자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말까지 중국은 기존 모델보다 진보적이고 매력적이며 저렴한 전기 자동차가 글로벌 시장에 쏟아져 들어오면서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대량 하면서 주목을 받게 될 것입니다.

중국은 2025년 세계 최초의 6세대 전투기와 저가 인공지능 시스템 '딥시크'를 일주일 만에 출시할 예정이다.

마크 앤드레슨스는 DeepSeek의 출시를 AI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라고 불렀지만, 이는 중국의 "스푸트니크 순간"에 더 가깝습니다. 이는 중국의 지적 재산에 대한 인정을 의미합니다. 중국이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분야는 전례 없는 속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몇 년 전 화석 연료를 피했던 것처럼, 중국 자산에 대한 비중을 상당히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이 투자자들이 시장 지향적이지 않은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처벌을 내릴 때까지 말입니다. 오늘날 중국에 대한 펀드 리스크 최소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자가 있는 선도적 기업을 선호하는 투자자는 이 사실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오늘날 넓고 깊은 해자를 가진 기업은 중국 기업이지, 그들이 경제적으로 우월하다고 믿는 서구 기업이 아닙니다.

중국의 제조 역량은 뚜렷하게 나타나며, 상품 수출 규모는 미국의 두 배에 달합니다. 중국은 전 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의 30%를 기여하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에서 차지하는 점유율 도 빠르게 상승 있습니다. 중국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인해 투자 대상지로서 외면당했지만, 경기 순환적 침체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선진국 시장보다 두 배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들이 있기 때문에 중국의 글로벌 시총 점유비율 은 오랫동안 한 자릿수에 머물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의 중국은 1980년대 초반 일본이 처한 상황과 비슷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일본 기업들은 가치 사슬을 따라 올라가면서 더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더 많은 혁신을 이루었습니다. 서구의 많은 기업과 산업은 잠재적으로 실존적 위기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서구 기업이 살아남으려면 1) 대규모 자동화를 실행하고, 2) 무역 장벽을 세워야 합니다. 과거에 두 번째 길은 경제에 있어 내리막길이었고, 지금도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지만 서방에 반드시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문에서 중국의 주요 수출 시장은 종종 G10 국가 이외의 약 70억 명의 인구입니다.

EZCuswQXGj5H2Qp0fSdOpBWNYiJft8egarY7qPFZ.png

그림 1: 제조품의 세계 무역 그림 2: 중국의 수출 점유율

국제 무역의 주요 항목을 살펴보면, 중국은 의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점유율 확대하고 있습니다. 의류는 중국이 해외로 업무 확장하기 전에는 지배적이었던 부문입니다. 중국은 주요 상품 범주에서 미국보다 규모가 크며, 종종 몇 배나 더 큽니다. 유일한 예외는 자동차입니다(양이 아닌 가치 측면에서). 하지만 이 분야에서도 중국이 앞서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포드 CEO는 샤오미를 타고 다니는데, 이러한 추세가 바뀌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 부문에서도 중국은 따라잡고 있다. 예를 들어 운송 서비스 부문에서 점유율 연간 약 0.5%포인트씩 증가하고 있다.

F5Embm7HHtPBVGkyEPqwaiULmhNLZ82HP4gJO6j7.png

그림 3: 주요 카테고리 점유율

지적재산권의 대리 지표로서의 특허

중국은 완전한 가치 사슬을 가지고 있으며 현지에서 전문가 클러스터를 형성했습니다. 핵심 산업에서 실리콘 밸리와 같은 여러 전문 분야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대학과 긴밀히 협력하여 연구합니다.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중국은 약 70%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5G, 6G 통신장비 분야에서도 비슷한 위치에 있습니다.

2023년에 중국의 특허 출원은 전 세계 전체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중국은 인도를 제외한 전 세계 전체보다 더 많은 과학 및 공학 졸업생을 배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다른 나라에서 온 졸업생 중 상당수가 중국인이라는 점도 고려하세요. 따라서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중국 기업의 지배력 상승 단기적으로 멈출 가능성이 낮습니다.

중국은 무역 장벽에 직면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과 EU가 전기 자동차에 부과한 관세가 있습니다. 그러나 서방은 더 심각한 결과(인플레이션, 경쟁력 저하, 보복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조치를 취하는 데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1980년대에 미국은 일본의 발전을 억제하려고 노력했고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우리는 오늘날 중국의 상황이 1989년의 일본과는 다르고 오히려 그 전의 일본과 더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2Kw1iVWNhjuxVpIBY6QeO1vptEw2oqvXaeuOFWJg.png

그림 4: 2023년 특허 출원 건수

1980년대 중국 대 일본

1970년대 내내 일본의 국민총생산(GNP)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습니다. 위키피디아를 확인해보니, 일본의 실질 GDP 성장률이 1980년대에 연 4%에 불과했다는 사실에 놀랐지만, 이는 여전히 일본의 경제적 "기적"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졌습니다. 반면, 오늘날 사람들은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4%일지 5%일지에 대해 불안해하며 이러한 성장률을 "느리다"고 생각하지만, 돌이켜보면 이러한 관점 이를 "기적"으로 간주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플라자 합의는 엔화를 40% 평가절상시키는 것을 요구했고, 이로 인해 일본의 산업 분야 우위가 둔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경기 침체가 발생했고 일본 정부는 느슨한 통화 정책으로 대응했습니다. 경제 성장률은 1987년부터 1989년까지 5%로 회복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주식 시장이 급등하고 버블이 나타났습니다. 경제 성장의 회복으로 철강 및 건설 부문이 회복되어 임금이 증가하고 일자리가 창출되었습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수출보다는 내수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런 일은 중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1980년대의 일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일본의 경제 성장은 저렴한 노동력의 대량 투입, 자본의 집중적 사용, 생산성 향상을 통해 달성되었습니다. 국내 투자는 GDP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금융 억압으로 이자율이 낮게 유지되어 투자가 촉진되었습니다. 일본은 합작투자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한다. 1970년대 초반 일본의 저축률은 GDP의 40%에 달했지만, 1980년대 초반에는 거의 30%로 떨어졌습니다. 1970년대에 일본은 무역 마찰을 피하기 위해 해외에 공장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중국도 최근에야 비슷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습니다.

문제는 중국이 이러한 개발 경로에서 어떤 지점에 있는가이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도 부동산 거품을 경험했지만, 그 규모는 일본에 비해 훨씬 작습니다. 게다가 신용이 긴축되고 부동산 부문이 하락하기 시작한 지 6년이 흘렀습니다. 주택 가격은 3분의 1로 하락했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절반으로 줄었으며, 명목 GDP는 약 3분의 1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주택 구매력은 수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 낮은 이익율 과 낮은 주가수익비율로 인해 주식 시장 가치 평가도 낮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1989년 버블 당시의 일본과 다릅니다. (당시 일본 주식 시장은 지난 20년간 시총 50배나 성장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국은 일본처럼 소비 중심의 경제 발전 경로를 따르지 않고, 일본과 같은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하지만 사실 중국은 미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 중국, 대만, 한국, 스페인, 그리고 동유럽의 많은 국가와 지역들이 걸어온 길을 따르고 있습니다. 중산층 함정에 빠져 어려움을 겪는 일부 국가나 지역과 달리, 중국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가 되었습니다.

zkK3ZXcK04vM0LpzSHfMzTLPfcoL4zs8hTSVXRXr.png

그림 5: 선진국 수준으로의 진전

일본은 이 무렵 금융 시스템을 자유화했습니다.

IMF가 2013년에 발표한 보고서 '중국의 경제 전환'의 12장에서는 1980년대 일본의 발전 경로와 중국의 미래 발전 경로가 유사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플라자 합의 이전, 일본의 금융 시스템은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었으며, 이자율이 규제되었고 자본 통제가 엄격했으며, 기업의 자금이 충분했기 때문에 은행 대출에 대한 수요도 제한적이었습니다. 일본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데다 엔화 가치도 약세를 보이면서, 일본이 금융 시장을 개방하고 엔화 자산의 매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으로 자본이 유입되고 통화 공급량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경제 성장과 자산 거품이 촉진되었습니다.

중국도 비슷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레이건 대통령의 선례를 따라 무역 거래에서 중국의 금융 자유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고, 중국 역시 자국 통화인 런민비의 국제화를 가속화할 준비가 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소식으로 여겨집니다. 위안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기업 수익성을 높이고 외환 관점에서 중국 자산의 매력을 높일 것입니다. 미국은 왜 이런 정책을 추진하는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정치적 고려 사항, 2) 위안화 평가절하가 관세의 영향을 상쇄하여 무역을 지속하고 관세를 부과할 수 있고, 무역을 위축시키지 않을 수 있다는 믿음, 3) 금융 자유화로 인해 위안화가 평가절상되어 중국의 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믿음.

외부 압력과 관계없이 중국이 소비를 촉진하고자 한다면 금융 시스템을 자유화하는 것이 이자율을 정상화하고 저축자로부터 기업으로의 부의 이전을 종식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자본이 합리적으로 배분되어 과도한 투자와 치열한 경쟁이 줄어들고, 기업 수익성이 향상되고 국유기업의 수익률이 증가하여 재정적 압박이 완화될 것입니다. 우리는 대기업, 투자 회사, 가계가 주식 시장 가치를 높이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완화하라고 정부에 점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정부가 이전에 인프라와 부동산에 대한 과잉 투자를 늦추었던 것처럼, 산업에 대한 과잉 투자를 억제하는 것이 분명 다음 단계가 될 것이며, 예상보다 빨리 시행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이 2025년에 미국을 달래기 위한 핵심 주제이자 상황에 필요한 주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며, 이로 인해 큰 불장(Bull market) 이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하지만 중국의 인구 감소는 어떤 의미를 갖나요?

중국의 인구 감소는 경제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많은 국가가 이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주장이 중국이 두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완전히 간과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중국은 자동화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전 세계 산업용 로봇의 약 70%가 중국에 설치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1인당 부가 증가합니다. 2) 중국은 거대한 잠재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중동 및 북아프리카를 개발 궤도에 올려 시장 잠재력을 확대합니다.

중앙아시아의 인구는 불과 8천만 명이지만 자원이 풍부하고, 서아시아의 인구는 3억 1천만 명이며 전반적으로 부유합니다. 남아시아의 인구는 21억 명입니다(그 중 3분의 2는 인도에 거주하며, 현재는 중국과의 무역 및 투자가 크게 제한되어 있지만 중기적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14억 명의 인구를 보유한 아프리카가 있습니다. 즉, 아프리카의 잠재 소비자 수는 중국의 잠재 소비자 수와 동일하며,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인도 제외)의 잠재 소비자 수는 ASEAN과 라틴 아메리카의 잠재 소비자 수와 동일합니다. 중국-인도 관계가 개선되면 인도의 잠재 소비자 인구도 거대한 시장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중국의 국내 인구 통계에만 초점을 맞추면 사람들은 중국의 미래에 대해 잘못된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2024년 중국의 수출은 7% 증가했으며, 브라질, UAE,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수출은 각각 23%, 19%, 18% 증가했고, '일대일로'를 따라 있는 ASEAN 국가에 대한 수출은 13% 증가했습니다. 현재 중국의 ASEAN과 BRICS+에 대한 수출은 미국과 유럽 연합에 대한 수출과 동일합니다. 지난 5년 동안 이러한 목적지에 대한 수출 시장 점유율 매년 약 2%포인트씩 증가했습니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중국은 시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에 타격이 있겠지만, 도이체은행 경제팀은 미국이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10%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의 수출이 중국 GDP의 3%를 차지하는 것을 감안할 때, 이는 중국 GDP에 0.5%의 하락 압력을 가할 것이며, 이는 통제 가능한 충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수출 우위의 단점은 세계의 주요 국가 중 다수가 BRICS+ 내에서도 보호무역 조치를 채택했기 때문에 중국의 수출 성장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중국 기업은 지적재산권과 제조 부가가치 분야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른 시장에 공장을 설립하거나 조립용 부품을 수출하는 방식으로 국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달러의 무기화로 인해 해외 인프라와 공장에 대한 투자가 미국 국채에 대한 투자보다 더 매력적이 되었기 때문에 미래의 개발 방향은 매우 명확합니다.

ik6tEUGhxdWj7D6yuXqWEScp4sUyfCLPR1r88ai6.png 그림 6: 중국, 새로운 경제시장 확대 (단위: 백만명 )

중국-미국 무역 문제로 예상치 못한 긍정적인 소식이 올 수도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미국이 도이체은행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높은 관세를 중국에 부과할 것으로 예상합니다(우리는 2025년에 2단계로 20% 관세가 시행될 것으로 예상하며, 그 중 하나는 이미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이런 비관적인 기대보다 훨씬 낙관적일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분명히 관세를 재정 수입원으로 삼고 있으며, 경제적, 전략적 이유로 중국을 관세 수입의 주요 원천으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념적 입장보다는 전술적 승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합니다. 이념적 입장은 지지를 얻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우리 산업에는 투자자와 거래자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거래자 영향력이 점점 더 커졌습니다.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념적 "투자자"라기보다는 정치적 "거래자"에 더 가깝습니다. 그렇다면 그는 엄격한 로스 컷 지점을 설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딥시크"의 등장은 중국을 봉쇄할 수 있다는 서방의 환상을 산산이 조각냈습니다. 미국은 규제를 완화하고, 저렴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국내에서 경쟁력 있게 생산할 수 없는 중간재에 대한 수입 장벽을 낮추어 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마지막 사항을 달성하려면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지만, 우리는 미국 하원, 상원 의원과 기업 경영자들의 내부적 압력을 받아 미국이 무역에 대한 전통적인 공화당 입장으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약간의 논쟁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 분석가는 보다 무역 친화적인 입장이 결국 중간 선거를 앞두고 "미국 우선" 의제의 일부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우리는 정치적 "거래자"가 조기에 결과를 확보하려 할 것이라고 생각하므로 2025년 상반기에 미중 무역 협정이 체결될 수 있고, 그 후에는 서반구 문제에 초점을 맞출 수 있을 것입니다. 빠른 합의에는 제한적인 관세(도이체은행의 예상대로), 일부 기존 제한의 철폐, 중국과 미국 기업 간의 대규모 계약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그리고 본 분석가는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 주식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역과 시장 상황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습니다.

역사를 통틀어 무역과 경제력은 항상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수출과 주식시장 실적을 연결시킨 연구가 거의 없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수출은 세계 통화 공급량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세계 통화 공급량은 상승 공급량 둔화되고 있습니다. 도이체은행의 AI 플랫폼에 관련 연구를 찾도록 요청했을 때,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수출 성장은 기업 수익을 끌어올려 주식 가치를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 따르면 수출 성장에만 집중하면 국내 수요를 희생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전반적인 경제 성장을 저해하고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수출 감소는 일시적으로 주식 시장을 끌어올릴 수도 있다. 중국의 다양한 산업이 성장하면서 많은 분야에서 과잉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태양광 부문에서는 공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다른 부문에서도 이를 따른다면 주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국내 소비에 쓸 수 있는 자금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가계 예금 증가율은 명목 GDP 성장률의 두 배로 둔화되었지만, 중국 가계 저축은 2020년 이후 10조 달러가 늘어났으며, 이러한 저축은 중기적으로 소비와 주식 시장 투자에 대량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홍콩/중국 주식은 수익 성장 가속화와 P/E 재평가 측면에서 상승 여지가 많습니다.

fxwu7e9YHevTDO8Ci6y9u8HUzhZtL8soewoPE0Jk.png

그림 7: 중국 가계 은행 예금 그림 8: 미국과 EU의 M2와 중국 수출 증가율 비교

시장 리더의 가치 평가

yEBhuYRHcMP4AA7uECOwNe7pFw3g7kXjCux261Nq.png

그림 9: 중간 가격-장부비율과 자기자본이익률 비교 그림 10: NASDAQ 가격-장부비율과 자기자본이익률 비교 그림 11: CSI 300 가격-장부비율과 자기자본이익률 비교

기술 부문에 투자하는 데 있어 문제점은 수익이 시장 선도자의 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업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는 것입니다. 중국 투자자들은 이 문제를 충분히 알고 있지만, 한때 선두를 달리던 아마존 같은 기술주도 같은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CSI 300과 나스닥을 비교해보면, 두 지수 모두 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주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미국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중국 기업의 2배인 반면, 투자자들은 미국 기업에 중국 기업보다 4배 높은 주가순자산비율(P/B)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2배, 2.0배). 대부분의 대형 중국 주식은 홍콩에도 상장 있는데, 홍콩의 주가는 일반적으로 약 40% 저렴하며, 주가순자산비율의 약 1배에 가깝습니다. MSCI 중국지수를 살펴보면, 세계 지수 대비 주가수익비율이 역대 최대인 10%포인트에 달했으며, 가치평가 범위의 하한선에도 가깝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함에 따라 이러한 가치 할인은 언젠가는 프리미엄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저희는 투자자들이 중기적으로 중국 주식으로 상당히 이동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주가 상승 없이는 이런 주식을 매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중국 주식에 대해 강세를 유지해 왔지만 세계를 깨우치고 중국 주식을 매수할 촉매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중국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또는 전기 자동차에서의 지배력과 비슷한 것)가 그 촉매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홍콩/중국 주식이 2024년에 그랬듯이 중기적으로도 계속해서 선두를 달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79cI2dq7kMGjN2gX3tYvnDKbYgt6qPOo1Hz0b99q.png

그림 12: MSCI 중국 지수와 MSCI 세계 지수의 예상 P/E 비율 비교

w7uVjgz7tBJLbESNdTC1cybyftXn5kwFtlCaosUh.png

그림 13: 아시아 태평양 포트폴리오 모델

출처
면책조항: 상기 내용은 작자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따라서 이는 Followin의 입장과 무관하며 Followin과 관련된 어떠한 투자 제안도 구성하지 않습니다.
라이크
1
즐겨찾기에 추가
3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