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바이든 행정부의 가상화폐 탄압은 끝났다”며 친(親)암호화폐 정책 기조를 공식화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을 “달러를 위협하지 않고 오히려 강화하는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규제 완화 및 제도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밴스 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비트코인 2025 콘퍼런스’ 연설을 통해 조 바이든 정부의 비공식 금융 규제 전략이었던 ‘초크포인트 작전 2.0(Operation Choke Point 2.0)’의 종식을 선언했다.
‘초크포인트 2.0’은 은행 등 금융기관을 압박해 암호화폐 기업과의 거래를 차단했던 규제 관행으로, 업계에서는 오랜 기간 불만의 대상이었다.
밴스는 이날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디지털 자산 정책 3대 핵심 기조로 ▲적대적 규제 철폐 ▲스테이블코인 법제화(GENESIS 법안) ▲가상화폐 시장 체계 정립을 제시했다. 그는 “지니어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활동을 미국 내로 유입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달러의 위상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미 상원이 마련한 지니어스(GENESIS)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요건과 준비금 기준을 명확히 하고, 자금세탁방지(AML) 준수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일각에선 이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금융 인프라의 일부로 제도화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밴스 부통령은 가상화폐의 역할에 대해 “시민 자유를 보호하는 도구”이자 “나쁜 정책, 인플레이션, 차별로부터의 헤지(위험 회피) 수단”이라고 정의했다. 아울러, 개리 겐슬러 전 SEC 위원장이 “소비자 보호라는 명분으로 금융 민주화를 공격했다”며, 그를 해임한 배경도 함께 설명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해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에 직접 참석해 “친비트코인 대통령”을 자처하며 업계 지지를 이끌어낸 바 있다. 밴스 부통령의 이번 발언은 이를 계승한 것으로, 미 공화당의 암호화폐 정책이 대선 국면에서 본격적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