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정치권에서 비트코인(BTC)을 국가 준비금 형태로 도입하자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여당인 바라티야 자나타당(BJP) 소속 정치인들이 이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며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인도 국회의원 테자스비 수리아(Tejasvi Surya)는 “인도가 미국과 부탄 사례를 참고해 비트코인을 외환보유고나 전략적 국가 자산의 일환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리아 의원은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글로벌 금융 리스크에 대한 헤징 효과를 얻고, 장기적인 국가 경제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미국 일부 주정부의 국채 대안 비트코인 보유 움직임과, 부탄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채굴 수익을 통해 비트코인을 축적하고 있는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들은 인도 정부의 이번 논의가 단순한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인도 내에서는 비트코인 채굴, 거래 및 블록체인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국가 차원의 비트코인 보유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세계 5위 경제 대국인 인도가 준비금 자산에 비트코인을 포함할 경우, 이는 글로벌 외환보유고 포트폴리오 다변화 흐름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다만 인도 재무부 및 중앙은행은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제 정책 전환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정치권에서의 이런 논의 자체가 시장에는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