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테마 랭킹] 22개 중 3개 테마만 얕은 반등... 스테이블 코인·지급결제 미약한 상승세

알트코인 시장이 대체로 약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소수의 섹터만 소폭 반등하며 뚜렷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7월 1일 17시 7분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전체 22개 섹터 중 3개 섹터만 상승세를 기록했고, 나머지 19개 섹터는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섹터는 스테이블 코인(+0.32%) 분야다. 이 섹터 내에서는 USDC(+0.33%), USDT(+0.33%), USDS(+0.06%)가 일제히 상승했다. 이어 지급결제 인프라(+0.04%) 섹터에서는 비트코인캐시(BCH, +3.95%), 그로스톨코인(GRS, +0.79%), 비트코인(BTC, +0.06%)이 상승 흐름에 동참했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섹터는 –0.06%로 소폭 하락했으나, 헤데라(HBAR, +0.04%)는 강보합세를 보이며 일부 반등세를 보였다.

섹터 수익률 랭크

섹터 수익률 랭킹 하락 순 / 업비트 데이터랩

반면 하락률이 가장 큰 섹터는 광고(–4.32%)로, 스톰엑스(STMX, –26.01%), 밀크(MLK, –4.51%), 베이직어텐션토큰(BAT, –2.80%) 등이 크게 하락했다. 이어 NFT/게임(–2.57%) 섹터에서는 매직(MAGIC, –6.97%), 넥스페라카(NXPC, –5.10%), 스텝엔(GMT, –4.01%)이 약세를 보였다.

미디어/스트리밍(–2.33%) 섹터의 경우 오디오(AUDIO, –3.71%)가 낙폭을 주도했으며,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테이킹(–2.26%) 섹터에서는 지토(JTO, –5.55%), 퍼퍼(PUFFER, –1.91%), 레이어(LAYER, –0.99%) 등이 하락했다. 월렛/메시징(–2.24%)에서는 WCT(–3.50%), 세이프(SAFE, –2.33%), 마스크(MASK, –2.18%)의 하락이 돋보였다.

섹터 수익률 랭크

섹터 수익률 비교 / 업비트 데이터랩

시가총액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대형 섹터인 인프라, 디파이,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은 보합 내지 하락세를 보이며 시장 전반의 상승 탄력은 제한됐다. 디파이 부문 중 스테이블 중심 자산만이 소폭 상승했고, 인프라와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대부분은 정체되거나 하락하는 등 보수적인 흐름을 보였다.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소수 섹터의 미약한 반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테마에서 낙폭이 컸으며, 상승 섹터 수가 크게 제한되면서 투자 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이는 시장 내 테마별 선별적 조정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뉴스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인테마랭킹#알트코인섹터

출처
면책조항: 상기 내용은 작자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따라서 이는 Followin의 입장과 무관하며 Followin과 관련된 어떠한 투자 제안도 구성하지 않습니다.
라이크
즐겨찾기에 추가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