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ter thiel은 비트코인이 태어나기도 훨씬 전인, 1999년에 인디펜던트 인스티튜트라는 행사에서... 미래의 화폐로 정부 아닌, 개인들이 통제하는 디지털 화폐로의 전환을 이야기 한 적이 있음.
virtual money, privacy, and the internet - 1999, peter thiel
youtu.be/e-X8D1gOU1E?t=2229&si...…
2/ 그리샴의 법칙이라는게 있음.
이게 뭐냐면.. 중세 시대에 군주는 금화를 주조하기도 하고, 세금도 징수했었음. 이렇게 금화 주조와 세금 징수가 하나의 권력에게 있으면, 군주는.. 세금을 징수하고 > 징수한 그 금화를 녹인 다음 > 금 함량을 줄여 더 많은 금화를 발행할 수 있게 되는데..
실제 거의 모든 인류 역사 속의 군주는 똑같은 방법으로 국가 화폐의 인플레이션을 발생시켰고 그 결과, 모든 나라는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망해왔다는 거임.
금화에 포함된 금 함량이 어찌되었든, 1금화 = 1금화로.. 군주 입장에서 더 많은 금화를 찍어내면 더 많은 돈을 권력이 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나라가 확장하면 할 수록.. 더 많은 돈이 필요했기에 이런일은 늘 있어왔던 거임.
하지만 이렇게 군주가 화폐를 복사하는 일이 계속 반복이 되면.. 개인 입장에서는 자신이 가진 화폐 가치를 저장하기 위해 금 함량이 높은 동전을 인출하여 보관할테고.. 그 결과, 전체 화폐의 가치는 점차 나빠졌던거임.
즉, 이렇게 '돈'과 '재화' 사이의 연결고리를 '정부'가 통제하는 한, 가치 침식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는 거임.
- 그래서 peter thiel은 '역' 그리샴의 법칙을 이야기 하면서 '개인'이 통제하는 화폐로의 전환을 이야기 했음.
서로 다른 통화 중에 선택권이 군주에게 맡겨지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개인들 스스로에게 맡겨지는 경우, 개인이 선택한 통화는 가치 침식이 적을거라는 거임.
즉, '돈'과 교환되는 '재화' 사이의 연결고리를 개인이 통제하는 경우, 화폐는 실질적인 가치와 연결되어 전혀 가치가 침식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임.
즉, 이렇게 peter thiel은 수많은 개인들이 통제하는 화폐를 이야기 했었는데.. 그 구조가 비트코인하고 너무 닮아있는거임.
비트코인은 정부가 발행하지도.. 정부에 의해 사용되어 지지도 않았고, 수많은 개인이 스스로 선택한 디지털 자산이라는 부분이 말임.
3/ 또 놀라운건, 단순 이 화폐의 출현만이 아니라 그 과정도 제시했었는데.. 이 연설로부터 26년이 지난, 2025년에도 peter thiel이 말한대로 이 과정(달러화 및 개인 통제 화폐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는거임.
이 과정은..
먼저, 나쁜 정부가 통제하는 통화에서 > 정부가 통제하긴 하지만, 불안정하지는 않은 통화로 전환이 먼저 이뤄지고..
나중에는 결국, 중앙이 통제하는 명목상의 통화는 완전히 없어지고.. 실물 자산에 기반한 어떤 종류의 자산 클래스로 대체될거라는 거임.
그리고, 이런 과정은 전 세계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휴대폰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음. 스마트 폰이 나오기도 한참 전에.
쉽게 말해, 러시아 루블에서 > 달러로.. 브라질 헤알에서 > 달러로.. 터키 리라에서 > 달러로의 전환 등 글로벌 달러화가 먼저 일어나고
이후 사람들은 그 달러를 화폐 가치의 저장 목적으로.. 매우 유동적인 다른 종류의 금융 상품 가령, s&p 500 지수나 일반화된 주식 시장 지수로 그 화폐 가치를 보관/저장할 거라는 거임.
4/ 블록체인, 암호화폐는 어떤 사람도 가리지 않고, 국경도 가리지 않고 누구와도 주고 받을 수 있게 만들어져 있음.
그래서 이 암호화폐의 속성을 상속 받은 스테이블 코인은 정치, 경제가 불안한 나라에서 언제 어디서든지 달러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만듬.
이해를 위해 좀 극단의 상황으로 예를 들자면.. 대만에서.. 우리나라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자산의 가치를 저장하기위해 자신이 가진 그 나라의 화폐를 더 안전한 화폐, 달러로 바꾸려고 할텐데..
블록체인, 스테이블 코인 시스템이 실생활에 잘 도입된 국가/사회이면 일수록.. 정부가 개인의 행동을 통제 할 수 없게 되어서 누구든 달러로 쉽게 바꿀 수 있게 되는거임.
이렇게 전쟁은 아니지만.. 자신의 나라에 대한 불신 및 가치 저장 수단으로.. 달러화 및 자산의 미국 주식화 일어나고 있는 세상을 우리는 이미 살아가고 있는거임.
전문
m.blog.naver.com/ryogan/223915...…
5/ 그런데 다시 또, 24년에 재밌는 일이 생겼음.
비트코인 etf 출시, 비트코인의 중앙화로 인해.. 역 그래샴 법칙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긴걸로 보는거임.
"사회자: 암호화폐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은 무엇이며, 아직도 확신하시나요?
피터 틸: 비트코인 ETF로 부분적으로 잠금이 해제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가 덜 확신하는 부분은 비트코인이나 이러한 암호화폐의 이념적 창립 비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사이퍼펑크, 암호-무정부주의자, 자유주의자, 반중앙집권적 정부 같은 것이요.
사회자: 그게 처음에 당신이 관심을 갖게 된 계기 아닌가요?
피터 틸: 맞습니다. 그게 제가 생각했던 멋진 점이었습니다. 그리고 질문은 '정말로 그렇게 작동하는가?' 아니면 그 흐름이 어딘가에서 사라졌는가 하는 것입니다. FBI 사람들이 범죄자들이 100달러 지폐보다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말할 때, 그것은 아마도 원래 의도했던 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사회자: 비트코인을 판 적이 있나요?
피터 틸: 아직 일부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사야 했던 만큼 많이 사지는 못했습니다. 저는 아마도 여기서부터 그렇게 극적으로 오를 것이라고는 확신하지 못합니다.
사회자: 여기서부터요?
피터 틸: 네, ETF가 출시되었고, 여기서부터 누가 더 빨리 살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회자: 흥미로운 투자 조언이네요. 사실 좀 놀랐습니다. 저는 당신이 여전히 전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피터 틸: 저는 여전히 작은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더 오를 수는 있겠지만, 변동성이 크고 험난한 여정이 될 것입니다. 저는 두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하나는 이념적으로 분산된 컴퓨팅 세계의 미래에 대한 믿음이었고, 그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진심으로 믿었습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그것을 위한 완벽한 수단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점에 대해 훨씬 덜 확신합니다.
사회자: 흥미롭네요.
피터 틸: 그래서 아마도 블랙록 ETF를 가진 래리 핑크가 반-ESG 세력에 굴복했거나, 아니면 비트코인이 그들에게 이용당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후자일까 봐 걱정됩니다."
x.com/DavidShares/status/18070...…
Twitter에서
면책조항: 상기 내용은 작자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따라서 이는 Followin의 입장과 무관하며 Followin과 관련된 어떠한 투자 제안도 구성하지 않습니다.
라이크
즐겨찾기에 추가
코멘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