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대규모 청산사태와 ADL에 대한 Jeff의 의견 ✅ Jeff의 의견 -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 Hyperliquid는 100% 가동률을 유지 - 부실채무(Bad Debt)없이 시스템이 정상 작동 - 2년만에 처음 발생한 교차마진 기반 ADL 이벤트 - 일부 ADL은 불리하게 작용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많은 트레이더들이 일시적으로 유리한 가격에 포지션을 청산하면서 큰 수익 실현 - ADL과 관련하여 일부 비난의 목소리가 있으나 이는 합당한 조치였다 생각 - 건전성(Solvency)와 가용성(Uptime)은 금융 시스템의 기본으로 이를 흔드는 것은 비윤리적인 행위 - 20분 동안 HLP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포지션을 백스톱 청산 - 일부 HLP 하위 볼트는 과도한 청산 부담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담보 부족 상태가 되었지만, 이는 리스크 격리를 위한 의도된 설계 - 결과적으로, ADL 제공자들은 수억 달러의 추가 수익을 실현 - Hyperliquid는 청산 과정에서 수수료를 취하지 않으며, 투명성과 건전성을 우선시하겠다. ✅ 청산 구조 - 파생상품 시스템의 건전성을 유지하려면, 모든 포지션은 유지증거금(maintenance margin) 이상으로 담보 - 시장 급락 시(특히 알트코인 50% 이상 폭락 시), 2배 이상 레버리지 포지션은 자동 청산되어야 부실채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Hyperliquid는 모든 주문, 거래, 청산 내역이 온체인에서 투명하게 검증 가능하며, 타 거래소들은 실제 청산 데이터를 과소보고하는 경우가 많음 ✅ HLP? - HLP는 유동성 공급 및 백스톱(Backstop) 청산자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볼트 - 청산은 우선 오더북에서 시도되고, 부족할 경우 HLP가 해당 포지션과 담보를 인수 - 리스크 관리를 위해 HLP는 여러 하위 볼트(child vault)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청산을 담당 ✅ ADL(Auto-Deleveraging) - ADL은 최후의 청산 메커니즘으로, 시장 및 백스톱 청산이 실패했을 때 작동 - ADL에는 언더콜래터럴(부족 담보) 포지션 쪽과 제공자(providing) 포지션이 있음 - ADL 제공자들은 평균적으로 수익을 보지만, 개별 거래는 불리할 수도 있음 - Hyperliquid의 설계상 ADL은 매우 드문 경우에만 작동하며, 이번 사건은 메인넷 출범 이후 첫 교차 마진 기반 ADL 사례 원문

Telegram
면책조항: 상기 내용은 작자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따라서 이는 Followin의 입장과 무관하며 Followin과 관련된 어떠한 투자 제안도 구성하지 않습니다.
라이크
즐겨찾기에 추가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