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WA·스테이킹 확대에도 토크노믹스 신뢰성 도마에
폴리곤(Polygon)이 10월 들어 토큰화 자산 확산과 기관 러브콜을 받으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네이티브 토큰 POL의 인플레이션 구조와 주요 프로젝트 이탈이 겹치며 시장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3일 토큰화 인프라 기업 얼로이엑스(AlloyX)는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 은행의 수탁 하에 폴리곤 블록체인에서 토큰화 머니 마켓 펀드를 출시했다. 리얼 일드 토큰(Real Yield Token·RYT) 형태로 발행된 이 펀드는 미 국채와 커머셜페이퍼 등 단기 안전자산에 투자하며, 탈중앙화 금융(DeFi) 내 담보로도 활용 가능하다.
7일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는 POL의 부진으로 커뮤니티 내 인플레이션 폐지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POL은 연 2% 인플레이션 정책을 유지하며 매년 약 2억 개의 신규 토큰을 발행한다. POL 투자자 벤처파운더(Venturefounder)는 "BNB, AVAX, 이더리움(Ethereum)처럼 디플레이션 모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크 보이론(Marc Boiron) 폴리곤 랩스 CEO는 인플레이션 조정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구체적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9일 스위스 아미나(Amina) 은행은 폴리곤 재단과 협력해 POL 스테이킹 서비스를 개시했다. 스위스 금융시장감독청(FINMA) 인가를 받은 아미나 은행은 최대 15%의 보상을 제공하며, 기관 투자자들이 네트워크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유도한다. 마리아 아담지(Maria Adamji) 폴리곤 랩스 투자자 관계 총괄은 "검증인 수익 4%와 1년 보유 시 10% 인센티브로 총 15% 수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14일 부탄 정보통신부는 국가 디지털 신원(NDI) 시스템을 폴리곤에서 이더리움으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내년 1분기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부탄 정부는 이더리움의 보안성과 국제 신원 프레임워크 호환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체링 도르지(Chhering Dorji) 부탄 정부기술청 사무국장은 "이더리움 전환은 국가 신원 시스템의 신뢰 계층을 강화하는 조치"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폴리곤이 현실자산(RWA)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했지만, POL의 인플레이션 구조와 토크노믹스 불확실성이 향후 성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하연 기자 yomwork8824@blockstre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