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 Caff Research의 무료 체험판을 읽고 계십니다. 이 플랫폼의 모든 Web3 리서치 보고서와 칼럼 콘텐츠를 이용하고 더 많은 Web3 엘리트들과 함께 최신 트렌드를 알아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여 PRO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 주간/야간 읽기 모드로 전환하려면 먼저 로그인하세요.
RWA는 영어로 Real World Assets의 약자로, 중국어로 "실제 세계 자산"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실제 세계의 물리적 자산(예: 부동산, 인프라, 채권, 신에너지 시설 등) 온체인 거래 가능한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됩니다. 기술 개발은 2017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자산 증권화 의 파생적 개념[1]에서 기술 및 응용 계층 구현까지 8년이 지났습니다. 기존 증권화에서 실물 자산 계정을 매핑하는 것과 달리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RWA는 체인 기반 토큰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글로벌 자산의 유동성을 재편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최첨단 기술적 이점을 통해 기존 자산과 규제 간의 경계를 돌파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논문은 최신 데이터와 사례를 바탕으로 국채, 부동산, 탄소 배출권 등 핵심 적용 분야에서 RWA의 현재 글로벌 관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술과 규제 조율 간의 돌파구와 갈등을 살펴보며, 향후 가능한 "최소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개발 방향을 도출합니다. 세계적인 관점에서, 기관과 규제 기관이 공동으로 주도하는 프로젝트든, Web3 내 실험적인 샌드박스 프로젝트든, RWA의 개발은 기술적 효율성, 규제 보안, 그리고 정책 및 규제 간의 역동적인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현재 미국, 유럽 연합,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정책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중국과 홍콩의 차별화된 분석은 귀중한 참고 자료를 제공합니다. 공교롭게도 본 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점에 홍콩과 미국은 스테이블코인법(Stablecoin Act)이라는 규제 프레임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통과시켰습니다. 본 논문은 또한 현재 가장 최첨단의 규제 프레임 결합하여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할 것입니다. 동시에 기술 규제 협력 분야의 표준화 자산, 물리적 자산 RWA, 인프라 서비스 제공자 등 향후 주요 방향의 진행 상황에도 주목할 것입니다.
저자: Eddie Xin ,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Logos Fund 기술 그룹 책임자
표지: Unsplash 의 Andrei Castanha 사진
단어 수: 총 25,000단어 이상
면책 조항: Web3 Caff Research 무료 체험판 시리즈 콘텐츠는 무단 복제가 허용됩니다. 무단 복제 규칙을 철저히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반 시 법적 책임을 지게 됩니다.
목차
서론: 가치 인터넷의 재구축 하의 자산 혁명
글로벌 RWA 핵심 트랙 및 대표 프로젝트
재무부 토큰화: 기관 주도의 규정 준수 실험
부동산 토큰화: 유동성 재구축 및 법적 적응 문제
탄소 크레딧 토큰화: 환경 금융의 규정 준수 게임
기술-규제 협력의 획기적인 진전과 갈등
규정 준수 아키텍처 혁신: 해외 SPV 및 온체인 샌드박스
기술적 병목 현상 및 솔루션
유동성 딜레마와 시장 차별화
RWA 법률 준수 프레임 및 사례 분석
국내 법적 문제 및 준수 경로
홍콩 샌드박스 메커니즘 및 국경 간 규정 준수
국제적 규정 준수 프레임 비교와 상호 운용성의 딜레마
증권화 주도: 미국 규제 확대 및 사법 침투
샌드박스 실험: 홍콩 제도적 혁신과 국경 간 협력
통합 법률: EU MiCA 프레임 의 준수 비용 역설
새로운 실험 유형: 규제 차익 거래와 샌드박스 효과의 한계
상호 운용성 딜레마: 규정 준수 사일로의 기술적 및 제도적 원인
미래 경로 추론—기술 중심 vs. 규제 우선
기술 중심(싱가포르-홍콩 시너지 패러다임)
규제 우선 순위(미국, EU-중국 본토, 홍콩 벤치마킹 패러다임)
하이브리드 경로(기관 주도 글로벌 네트워크)
RWA 시장 혼란과 리스크 경고
“스캠코인”과 “캐피탈디스크”의 확산
규정 준수 차익거래 및 규제 허점
기술적 리스크 과 운영상의 함정
결론: RWA의 글로벌 실행에 대한 의미
핵심 모순
지역 생태적 특성
미래 전략 방향
리스크 예방 및 통제 프로세스
주요 포인트 구조도
참고문헌
서론: 가치 인터넷의 재구축 하의 자산 혁명
1970년 미국 국립주택금융협회(National Mortgage Association)가 모기지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최초의 모기지담보증권(Mortgage Pass Through Certificate, MPT)을 발행하고 최초의 자산 유동화(자산 유동화란 채권자가 주택담보대출, 상업용 채무 채무 3자 투자자에게 증권 형태로 매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투자자는 채권자로서 보유한 채무 의 원금과 이자를 회수할 수 있습니다.) 거래를 완료한 이후, 자산 유동화는 점차 널리 사용되는 금융 혁신 도구로 자리 잡았고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리스크 유동화 상품이 탄생했습니다. 케인즈 이론에 기반한 유동성 확대 프레임 하에서 금융 산업의 현대화는 더 이상 자산의 낮은 유동성에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현대 금융 산업은 목표를 변경하여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묶는 방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금융 시장에 꾸준한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술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우리는 인터넷 시대의 토큰 체인에서 자연스럽게 금융 혁신과 부합하는 기술적 규칙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성상, 체인 상의 저유동성 자산은 투명성과 추적성이 뛰어난 거래 링크와 결합되어 이 문제를 거의 완벽하게 해결합니다. RWA는 디지털 금융 혁신 도구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기 위한 준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금융 자산의 유동성이 향상됨에 따라, 초기 단계에 추진되었던 자산 유동화는 여전히 실물 자산의 유동성 공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REITs(부동산 투자 신탁), ABS(자산담보부채권), CLO(기업 대출 기반 자산 유동화)와 같은 자산 유동화 혁신 또한 실물 자산의 목표를 더욱 반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2020년부터 인프라 REITs 발행 정상화를 추진하기 시작했으며, 물류 단지나 고속도로와 같은 저유동성 기초 자산에 대한 다각화된 유동성 공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추적성과 투명성은 REITs 운용 프로세스에 오랫동안 포함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지원과 금융 혁신의 배경 하에 RWA도 시대의 요구에 따라 등장하여 블록체인 기술에서 비롯된 현실 세계의 다양한 자산 범주에 대한 유동성 흐름이 되고 있습니다.
RWA 모니터링 플랫폼 RWA.xyz 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온체인 RWA 총 시총 223억 8천만 달러에 달해 30일 전 대비 7.59% 증가했으며, 자산 보유자 수는 10만 941명으로 전월 대비 5.33% 증가했습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1]의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 RWA 시장 규모는 16조 달러에 달해 전 세계 GDP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1, 출처: RWA.xyz
RWA의 성장 곡선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Web3 생태계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든 기존 금융 기관의 샌드박스 실험이든, 다양한 자산이 앵커링되면서 점점 더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는 "스캠코인", "캐피탈 디스크", "컴플라이언스 차익거래", 그리고 법률 위반과 같은 혼란스러운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기술 혁신과 규제 적응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 속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RWA의 글로벌 관행, 기술적 과제, 그리고 규제 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업계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전 세계의 핵심 트랙과 대표적인 프로젝트들을 중심으로 최첨단의 새로운 RWA 패러다임을 심층 분석해 보겠습니다.
글로벌 RWA 핵심 트랙 및 대표 프로젝트
재무부 토큰화: 기관 주도의 규정 준수 실험
거시적 관점에서, 세계 경제의 "삼저일고(三極一高)" (높은 채무, 낮은 금리, 낮은 인플레이션, 낮은 성장률)라는 구조적 딜레마 속에서 기존의 채무 관리 프레임 유동성 부족, 투명성 부족, 시장 간 세분화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합니다. 국가 채무 토큰화는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DLT)을 활용하여 채무 증권의 디지털 매핑을 구현하고, 국채 및 국채와 같은 국가 채무 분할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며, 유통시장 유동성 개선(예: 미국 재무부 토큰화를 통한 실시간 결제 시범 시행), 가격 발견 메커니즘 최적화(예: 유럽 디지털 그린본드의 스마트 계약 적용), 그리고 국경 간 거래 마찰 비용 절감(예: 홍콩의 다중 통화 디지털 채권 발행)에 있어 기술 역량 강화의 가치를 입증합니다. 이러한 혁신은 금융 자산 형태의 수동적인 업그레이드일 뿐만 아니라, 재정 정책 전달 메커니즘과 통화 및 금융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혁을 수반합니다. 그 개발은 글로벌 채무 시장의 인프라 경쟁 환경을 재편하고 국가들이 디지털 금융 규칙과 자산 가격 책정 권한을 놓고 경쟁하는 전략적 초점이 될 것입니다. (Zhao Yao, 2025)[2].
국채 토큰화는 현재 RWA(역외채권협회)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방향입니다. 채권 시장은 오랫동안 세계 금융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 대상 중 하나로 널리 인식되어 왔습니다. 국가 신용 보증을 통해 채권 시장은 온체인 가장 인기 있는 실물 자산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세계 시장의 지속적인 고금리 환경 속에서도 미국 미국국채 필두로 한 국채 수익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국채는 투자자의 국채 거래 참여 유연성을 높이고, 기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며, 거래 속도를 높이고, 시장 투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 금융 시장과 비교했을 때, RWA는 국채 거래라는 저 리스크 환경에서 큰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RWA는 다양한 기초 자산을 매핑하므로, 시작하기에 앞서 독자는 먼저 RWA 토큰의 기본적인 유형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다음 그림은 주요 RWA 토큰 표준을 비교한 것입니다.
그림 2, 출처: DigiFT
그림 3, 출처: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Eddie Xin (RWA 주류 토큰 표준 비교)
국제 선도 프로젝트
유럽과 미국 시장은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국채 수익률의 자동 분배를 달성하고 규정 준수 비용을 최적화합니다.예를 들어, 2024년에 자산 관리 대기업 BlackRock의 BUIDL 펀드는 ERC-1400 표준을 채택했습니다(이 표준은 준균질성, 계층형 주식 지원, ABS 계층화 및 주식 파생 상품과 같은 구조화 금융 상품에 대한 적응성이 특징임).SEC 규정 준수 비용을 30% 줄였습니다.발행 3개월 후 관리 규모는 5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3].BlackRock은 안정적인 수익률과 온체인 안전한 자산을 가진 머니 마켓 펀드를 발행하여 다른 기관이 BUIDL을 기초 원자재로 사용하여 실제 세계의 안정적인 수익을 DeFi 세계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합니다.Goldman Sachs GS DAP [4](Goldman Sachs Digital Asset Platform)는 Digital Asset Company가 디지털 자본 시장에서 시장 참여자의 복잡한 유동성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개발한 솔루션을 기반으로 구축된 플랫폼입니다. 2024년 골드만삭스는 이 플랫폼을 통해 120억 달러 규모의 디지털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기존 채권 발행 모델과 비교했을 때, 디지털 채권의 평균 발행 주기는 기존 2주에서 48시간으로 크게 단축되었고, 결제 효율성은 60% 향상되었으며, 결제 시간도 기존 T+2 방식에서 실시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단축되었습니다. 2025년 골드만삭스는 미국 펀드 산업과 유럽 채권 시장의 토큰화 상품에 집중하여 대형 기관 투자자를 공략할 계획입니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세계금협회(World Gold Council)와 협력하여 금의 토큰화를 시험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블록체인을 통해 금 보유량 감사 보고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림 4, 출처: Goldman Sachs GA DAP 플랫폼
중국 홍콩에서의 실습
홍콩에서는 홍콩금융관리국(HKMA)이 2021년 토큰화 여정을 시작하여 국제결제은행(BIS)과 토큰화 채권을 테스트했습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중앙청산결제시스템(CMU)을 통해 홍콩 달러, 위안화, 미국 달러, 유로화를 포함하여 총 약 78억 홍콩달러 상당의 디지털 채권이 발행되었습니다. HKMA의 보고 매뉴얼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토큰화 채권은 분산원장기술(DLT)을 사용하여 정부 채권 자산을 성공적으로 디지털화하며, 물리적 검증, 공통 플랫폼, 채권 및 현금의 실시간 이체, 그리고 채권 흐름의 매우 높은 운영 효율성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5]
그림 5, 출처: 홍콩 금융 관리국 및 CMU 디지털 채권 보고서
동시에 홍콩은 앙상블 샌드박스 프로젝트(이 프로젝트는 실험적 토큰화 통화를 사용하여 은행 간 결제를 촉진하고 토큰화 자산 거래에 중점을 두는 데 전념합니다. 샌드박스 실험의 첫 번째 단계는 기존 금융 자산과 실물 자산의 토큰화를 다루며 고정 수입 및 투자 펀드, 유동성 관리, 녹색 및 지속 가능한 금융, 무역 및 공급망 융자 의 네 가지 주요 주제에 중점을 둡니다.)[5]는 기존 금융 및 실물 자산의 토큰화를 실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고정 수입 및 투자 펀드"의 첫 번째 응용 프로그램에서 권장되는 첫 번째 사용 사례는 채권입니다. 채권 및 펀드의 권장 사용 사례에 참여하는 업계 참여자는 중국은행(홍콩)유한공사, 항셍은행, 해시키그룹, HSBC, 스탠다드차타드은행(홍콩)의 다섯 플랫폼입니다.
이후 채권 활용 사례 측면에서 홍콩은 골드만삭스 GA DAP 플랫폼 파일럿을 통해 HSBC를 수탁기관으로 하여 8억 홍콩달러 상당의 토큰화된 그린본드를 성공적으로 발행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온체인 빠른 결제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 결제 방식 대비 비용을 40% 절감합니다. 2025년에는 온체인 결제 파일럿 규모가 15억 홍콩달러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동시에, 이 프로젝트는 유럽 및 미국 기관들이 해외 특수목적법인(SPV)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SPV 구조는 자산 증권화, 프로젝트 융자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자주 사용되는 특수목적법인(SPV)을 설립하여 리스크 분리하고 융자 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은 특정 자산의 신용도 향상 및 리스크 분리를 위해 "파산 분리"라는 독립적인 법적 실체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즉, 이 프로젝트는 "자산 체인 + 거래 체인" 아키텍처를 통해 중국 본토 자산과 홍콩 펀드 간의 컴플라이언스 도킹을 달성할 것입니다.
본토 탐험
현재 중국 본토에는 성공적인 토큰 기반 국채 프로젝트가 없습니다.현재는 자산 증권화의 탐색 단계에 있으며 주요 혁신 도구는 여전히 REITs이지만 다각화된 기초 자산을 디지털 방식으로 확인하고 홍보하기 시작했습니다.2024년 중국 본토는 데이터 자산 포함 정책을 통과시켜 기업 데이터 자산과 같은 디지털 자산이 재무제표에서 현재 가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이 법안은 같은 해에 시행되어 기업 데이터 권리 확인을 촉진하여 자산을 거래 측면에서 실제 유형에서 무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데이터 자산의 확인은 첫 번째 단계입니다.중국 본토의 데이터 자산 홍보 및 구축은 디지털 자산 측면에서 풍향계로 볼 수 있습니다.이 법안 시행 후 선전 거래소 발행 규모가 3억 2천만 위안인 최초의 데이터 자산 ABS를 완료하여 데이터 자산이 체인에 올라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또한 중국 본토는 데이터 자산 포괄 정책과 국제 회계 기준(IAS 38)의 도킹을 동시에 추진했으며, 2026년 기업 데이터 자산의 국경 간 거래 시범을 개시할 계획입니다. 동시에 상하이 환경에너지 거래소 블록체인 탄소거래 플랫폼을 출시하여 국가 탄소시장 할당량의 온체인 등록 및 거래를 성공적으로 실현하여 실물 자산을 체인에 올리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법적 비교 및 준수 경로
홍콩 증권선물조례는 자산 점유율 토큰화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를 제공하며, 법적 프레임 비교적 유연합니다. 앙상블 샌드박스는 "국경 간 데이터 흐름 화이트리스트" 메커니즘을 통해 중국 본토 자산 데이터가 체인 상에서 국경을 넘나들 수 있도록 허용하며, 양국의 규제 시스템과 연결되어 실시간 리스크 모니터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경 간 통제로 인해 중국 본토 데이터는 국경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홍콩 해외 데이터 전송 스테이션"을 통해 암호화된 미러 노드를 구축해야 합니다.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 국경 간 데이터 흐름 촉진에 관한 협력 각서" 의 비교 및 계산에 따르면, 이러한 프로세스는 규정 준수 기술 비용을 25~30% 증가시키고 승인 주기를 약 30일 연장합니다. 또한, 중국 본토 주권 자산의 토큰화는 "중국인민은행법"과 외환관리조례의 제도적 제약을 받으며, 자본계정 통제를 돌파해야 합니다. 중국-홍콩 채널은 규정 준수 측면에서 아직 완전한 절차적 접근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국채 토큰화라는 제도적 관행은 RWA에 고유동성 자산에 대한 법적 형식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부동산과 같은 비표준 자산의 토큰화는 법적 소유권 조정 및 유동성 재구축 측면에서 더욱 복잡한 과제에 직면하며, 포용성과 보안성을 모두 고려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그림 6, 출처: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Eddie Xin (중국과 홍콩의 법적 프레임 비교)
부동산 토큰화: 유동성 재구축 및 법적 적응 문제
세계 경제 성장 둔화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라는 배경 속에서 기존 부동산 시장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IMF의 글로벌 금융 안정 보고서(Wind Financial Terminal Authority 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은 높은 가치와 낮은 유동성을 특징으로 합니다.게다가 거래 주기가 수개월을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세계 부동산 거래의 마찰 비용(금융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및 기타 관련 비용을 말하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일 수 있음)은 총 자산 가치의 6%-10%를 차지하며[6], 그중 제도적 비용(부동산 등록 및 규정 준수 검토 등)이 40% 이상 점유비율 거래 주기는 평균 12-16주로 자산의 효과적인 배분 및 가격 발견을 심각하게 방해합니다.국제통화기금(IMF)의 Wind Financial Terminal 자료에 따르면, 세계 부동산의 평균 거래 비용은 총 가격의 6%-10%를 차지합니다.경제를 활성화하고 자원 배분을 최적화하기 위해 각국은 적극적으로 금융 혁신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경제와 실물 경제의 통합을 장려하는 것은 부동산 토큰화 발전에 긍정적인 정책적 여지를 제공합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비교적 성숙되어 있으며, 높은 효율성, 낮은 비용, 그리고 거래 용이성을 바탕으로 부동산 소유권 및 거래의 디지털 분리와 확인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국제 선도 프로젝트
미국의 RealT는 부동산 투자 한도를 50달러로 낮췄지만, 온체인 오프체인 소유권 불일치로 일부 거래가 중단되었습니다. EU에서는 Propy가 AI를 통해 부동산 거래를 주도하여 인건비를 40% 절감했지만, EU 국가의 부동산 등록 시스템이 아직 블록체인에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프랑스 토지 등기소는 여전히 종이 문서를 사용함) EU 구매자는 여전히 오프체인 법적 계약을 검증해야 합니다. 현재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앞서 언급한 Goldman Sachs에서 분할 GS DAP 플랫폼입니다. GS DAP는 Tradeweb과 협력하여 부동산 투자 신탁(REITs)의 토큰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뉴욕 상업용 부동산의 임대 소득권을 ERC-3643 표준 토큰으로 분할할 계획입니다. Synthetix 플랫폼은 또한 약 1억 달러 규모의 상품 지수(예: 석유, 금, 구리)를 성공적으로 토큰화했으며, 이더 통해 가격 추적을 달성하여 투자자에게 간접적인 참여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중국 홍콩에서의 실습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는 리츠(REITs) 점유율 토큰화를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NFT China.hk가 투자한 Munch 케이터링 스타트업 프로젝트에서 Munch는 RWA.ltd와 협력하여 케이터링 매장 수익의 NFT 분할을 시범적으로 실시하여 융자 주기를 50% 단축했습니다. 앙상블 샌드박스는 2025년에 리츠 토큰화 테스트를 시작하여, 적격 투자자의 진입 기준을 100만 홍콩달러에서 50만 홍콩달러로 낮춰 중소 규모 투자자의 참여를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홍콩 Munch 시범 프로젝트는 "USDT 준수 거래소 + 중국 본토 완전 외국인 소유 기업(WOFE) 소득권 등록"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Munch Project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는 케이터링 수익 토큰의 유동성을 35% 증가시킬 것입니다.
부동산 기반 자산의 다각화에 따라 더 많은 사업 형태가 포함되고 있습니다. 2024년, 랑신 테크놀로지(Langxin Technology) 는 앤트 디지털 테크놀로지(Ant Digital Technology)와 협력하여 홍콩에서 중국 최초의 신에너지 실물 부동산 기반 RWA(재무부채권추심)를 완료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9,000개의 충전소 수익권을 토큰화하고,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일부 충전소를 RWA 앵커 자산으로 활용했으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온체인"충전소" 디지털 자산을 발행했습니다. 각 디지털 자산은 해당 충전소 수익권의 일부를 나타냅니다. 1억 위안 규모의 국경 간 융자 확보했으며, 데이터는 온체인 양국의 규제 기술 시스템에 연결되었습니다. 랑신 그룹의 실물 자산 탐색은 해외로 진출하는 중국 및 홍콩 기업들에게 새로운 융자 아이디어를 제공했습니다. 과거에는 해외로 진출하는 소수의 기업만이 현지 은행 대출, VC(리스크 캐피털) 지원 등을 통해 해외 융자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랑신그룹은 "차징 파일"을 RWA 앵커 자산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국경 간, 지역 간 기업들도 실물 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대응시켜 지역 간 신용 및 융자 달성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증권일보) [7]
본토 탐험
선전시의 부동산 등기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 도입하여 부동산 정보의 30%를 체인에 저장함으로써 소유권 검증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중국 기반 상하이 트리 그래프 블록체인 연구소(Conflux)는 앤트 디지털(Ant Digital)과 협력하여 4,000대의 오프라인 기기를 디지털 금융 상품으로 전환하는 " 순찰 독수리 배터리 교환 캐비닛 RWA " 프로젝트를 완료했습니다. 홍콩 빅토리 증권은 private equity 기관의 해외 인수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수탁기관 역할을 수행하여 "준리츠(quasi-REITs)" 자산 증권화의 새로운 길을 성공적으로 모색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통해 배터리 교환 캐비닛 운영 데이터를 수집하고 체인을 통해 RWA를 형성하여 여러 private equity 기관의 인수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법적 비교 및 준수 경로
현재 상황에서 부동산 토큰화 방향은 구조적으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초 자산이 가치 있고 유동성이 낮은 자산에 고정되어 있고, 기존의 성공적인 자산 유동화 경험과 결합되어 RWA(위험자산담보부채권) 및 체인화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 혁신 지역인 홍콩은 이러한 자산의 디지털 탐색을 위한 유연한 규제 프레임 갖추고 있지만, 중국 본토에서는 부동산 등기 시스템과 온체인 데이터 간의 사법적 상호 인정 메커니즘이 불완전하여 지역 간 법적 적응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동시에, 중국 본토 "부동산법"의 자산 분할 및 자본 통제 정책 제한으로 인해 부동산 토큰화가 장비 융자 임대와 같은 유동화 모델로 일시적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선전 부동산 등기 시스템의 블록체인 시범 기술은 소유권 검증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아직 온체인 데이터의 법적 지위를 해결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림 7 출처: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Eddie Xin
탄소 크레딧 토큰화: 환경 금융의 규정 준수 게임
인류 문명이 생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세계 경제 시스템 또한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생태 거버넌스의 핵심 경제 도구인 탄소 배출권 시장의 운영 방식 개혁은 지속 가능한 발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파리 협정으로 확립된 세계 기후 거버넌스 프레임 는 시장 기반 수단을 활용하여 통일되고 효율적인 탄소 자원 배분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그러나 현재 세계 탄소 시장은 심각한 지리적 단편화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지역별 탄소 가격 형성 메커니즘의 차이, 거래 규칙의 조율 부족, 국경 간 순환의 방해로 인해 탄소 자산 가격 책정의 무질서와 자원 불일치 리스크 증가가 초래됩니다. 국제 에너지 기구(IEA)가 제공한 2022년 중국 에너지 시스템 탄소 중립 로드맵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탄소 시장의 평균 거래 비용은 10~15%를 점유비율 하며, 일부 신흥 시장은 20%를 초과하여 기후 정책의 효과를 심각하게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세계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볼 때, 각국은 정책 도구를 활용하여 녹색 경제 질서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 탄소배출권거래제(EU ETS)는 할당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탄소 가격 공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이중 탄소" 전략은 8대 핵심 산업을 포괄하는 국가 탄소 시장을 촉진하고 세계 최대 규모의 탄소 배출 요소 시장을 형성합니다. 동시에 싱가포르와 스위스와 같은 국가들은 탄소 자산 토큰화 법률과 디지털 자산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글로벌 탄소 시장 규칙 혁신을 위한 실질적인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국제 선도 프로젝트
투칸 프로토콜(Toucan Protocol)은 블록체인 기반 탄소 배출권 토큰화 프로토콜입니다. 기존 탄소 배출권(예: 베라(Verra) 인증 VCU)을 온체인 토큰(TCO 2, BCT)으로 전환하여 탄소 자산의 유동성과 시장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누적 거래량은 40억 달러에 달했지만, 베라(Verra)의 물리적 취소 요건으로 인해 "고정형" 토큰 모델을 채택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베라(탄소 배출권 등 환경권을 관리하는 국제기구)는 해당 탄소 배출권 및 기타 권리를 시스템에서 완전히 삭제해야 한다는 규정(종이를 "물리적으로 파기"하는 것과 같음)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 디지털 토큰으로는 언제든지 분할, 이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고정된" 토큰 모델만 채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권리는 고정된 개수의 디지털 토큰으로 생성되어 임의로 분할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여러 코인이 하나의 묶음으로 묶여 전체 거래만 가능하고 개별적으로 분해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Verra의 "완전히 취소되어야 함"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것입니다. Klima DAO는 탄소 크레딧 스테이킹 메커니즘을 통해 배출량 감축을 촉진하지만, 탄소 상쇄량 중복 계산의 리스크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제3자 기관의 감사 검증이 필요합니다. 2024년 6월, Gold Standard는 기술 보안, 운영 규정 준수 및 기타 측면을 포괄하는 탄소 크레딧 토큰화 참조 표준을 개발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위 프로젝트들은 온체인 탄소 시장의 유동성 요구를 성공적으로 반영하고 활성화했습니다.[8]
중국 홍콩에서의 실습
홍콩 앤트 디지츠가 구축한 토큰화 플랫폼은 탄소 배출권과 그린 본드의 지급결제(DvP) 거래를 실현합니다. 2025년에는 브라질 가정용 태양광 프로젝트(1단계 2억 2천만 헤알)에 대한 블록체인 그린 인증서의 국경 간 거래를 완료하여 국제 탄소 시장과 신흥 경제국 간의 연결 채널을 성공적으로 열 것입니다[9]. 이 플랫폼은 또한 중국 최초의 가정용 태양광 RWA 프로젝트인 GCL 에너지와 앤트 디지츠가 장쑤성, 안후이성 등지에 있는 82MW 규모의 분산형 발전소 자산을 토큰화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IoT 기기를 통한 발전 데이터의 실시간 추적을 통해 해외 투자자에게 연 6.8%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국제 탄소 시장 규정의 호환성을 증진하기 위해 앙상블 샌드박스의 핵심 시범 분야에 탄소 배출권을 포함시켰습니다. JD 테크놀로지는 샌드박스 정책에 따라 웹 3.0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홍콩 달러 스테이블코인 JDHKD를 출시하여 RWA의 국경 간 결제를 위한 저마찰 채널을 제공했습니다. 수이 퍼블릭 체인과 앤트 디지츠는 탄소 배출 감축 및 그린 본드의 온체인 앵커링을 구현하기 위해 ESG 자산 프로토콜 계층을 공동 구축하여 거래 결제 시간을 기존 T+3에서 15분으로 단축했습니다.
본토 탐험
탄소 중립 정책을 추진하는 주요 지역으로서 중국은 탄소 권리 디지털 탐색에서도 세계 선두에 섰습니다. 예를 들어, 상하이 환경에너지 거래소 2025년에 블록체인 탄소 거래 플랫폼을 출시하여 국가 탄소 시장 할당량의 온체인 등록 및 거래를 실현했습니다. 좌안 신후이 농업 탄소 자산 관리 프로젝트와 같은 주요 기관 프로젝트는 농산물 데이터와 탄소 배출권을 통합하고, "블록체인+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1,000만 위안 규모 융자 조달했으며, 농업 탄소 자산과 실제 산업의 통합 경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거래 관리 조치"는 프로젝트 수준의 탄소 자산을 체인에 등록할 수 있도록 명확히 규정하여 탄소 배출권 토큰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중국 본토의 탄소 권리 시장 관리 탐색이 블록체인 결제 솔루션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정 시나리오에서 응용 시나리오에 대한 수동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본토는 앞으로도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블록체인 기술 분야를 적극적으로 탐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법적 비교 및 준수 경로
홍콩은 글로벌 금융 혁신의 중심지로서 Verra, Gold Standard 등 세계적인 주류 발행 플랫폼과 최첨단 금융 기술 탐색에 더욱 편리하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국제 플랫폼은 여전히 국경 간 토큰화에 대한 절차적 제약(예: 실물 취소 요건)을 가지고 있어 규정 준수 운영의 복잡성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중국 본토의 탄소 자산 규모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국제적인 상호 인정 기준은 미흡합니다. 탄소 배출권 토큰화는 일시적으로 국내 폐쇄형 거래에 국한되며, 국제 규정과의 연계 및 조율을 강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상하이 환경에너지 거래소 의 블록체인 탄소 거래 플랫폼은 온체인 등록을 실현할 수 있지만, 국경 간 거래는 여전히 기존 메커니즘에 의존해야 합니다.
중국 본토 탄소배출권 시장은 "탄소 배출권 거래 관리 잠정 규정"을 중심으로 생태환경부의 감독을 받습니다. 등록, 할당량 할당, 배출권 감축 인증 제도를 통해 주요 배출 단위의 거래 행위를 규제합니다. 그러나 탄소배출권 토큰화 분야에는 별도의 규정이 발표되지 않았으며, 기존 탄소 시장 규정을 기반으로 규제 준수 범위를 모색해야 합니다.
홍콩은 증권선물조례를 기반으로 유연한 규제 프레임 구축하고 기능적 규제 모델을 채택했습니다. 탄소 크레딧 토큰에 증권 속성(예: 소득권증서)이 있는 경우, 증권 발행 절차에 따라 투자설명서를 제출해야 하며, 유틸리티 토큰인 경우 자금세탁방지(AML) 및 고객 신원확인(KYC)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앙상블 샌드박스"를 통해 블록체인 금융 혁신을 위한 테스트 공간을 제공하고, 통제 가능한 리스크 전제로 탄소 크레딧 토큰화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홍콩에서 탄소 크레딧 토큰화 업무 진행하기 위해 진출하는 중국 본토 기업은 세 가지 규정 준수 사항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첫째, 자산 규정 준수: 생태환경부에 등록된 CCER과 같은 고품질 탄소 자산을 선택합니다. 둘째, 구조적 규정 준수: 특수목적법인(SPV)을 설립하여 ODI(ODI, 대외 직접 투자)를 완료합니다. ODI는 중국 기업 및 그룹이 해외 및 홍콩, 마카오, 대만에서 현금, 실물, 무형 자산 등에 투자하는 경제 활동을 말하며, 외국 기업의 경영권을 통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합니다. 이는 중국 기업의 "외국 진출" 전략의 핵심 부분입니다. 또는 외채 등록을 통해 국경 간 자본 흐름 규정을 달성합니다. 셋째, 업무 규정 준수: 인증서 속성에 따라 해당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증권 감사 통과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1등 증권사에 인수를 위탁하고 9등 증권사에 보관을 위탁하며, 홍콩 증권선물위원회의 정보 공개 요구 사항을 준수합니다.
그림 8, 출처: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Eddie가 직접 작성(홍콩 RWA 업무 관련 기관 라이센스 비교표)
부동산 토큰화의 소유권 분쟁은 실물 자산을 온체인 가치에 매핑하는 주권 게임의 본질을 드러냅니다. 탄소 배출권 토큰화는 이러한 모순을 환경 금융 분야로 더욱 확대하여, 시장이 국경 간 준수와 국제 표준의 상호 인정 사이에서 돌파구를 모색하도록 강요합니다.
그림 9, 출처: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Eddie가 직접 작성(중국과 홍콩 탄소 시장의 전체 차원 비교)
기술-규제 협력의 획기적인 진전과 갈등
디지털 경제가 세계 금융 생태계를 재편하는 맥락에서, 기술 혁신과 규제 프레임 간의 역동적인 경쟁은 금융 시스템 변혁의 핵심 동력이 되었습니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으로 대표되는 분산 기술은 탈 탈중앙화 가치 순환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기존 금융 감독의 침투적인 관리, 영역적 제약, 그리고 준법 심사 메커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국가 채무 토큰화, 부동산 자산 토큰화, 탄소 배출권 디지털화와 같은 첨단 분야에서는 기술 혁신으로 인한 거래 효율성 향상(예: T+0 실시간 결제), 리스크 분산 최적화(예: 자산 분할 거래), 그리고 시장 안정성 유지 및 시스템 리스크 방지를 위한 규제 기관의 핵심 요구가 협력적 혁신의 가능성과 규칙 충돌이라는 딜레마를 동시에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순은 본질적으로 기술의 근본 논리와 시스템의 최상위 설계 간의 패러다임 차이를 반영합니다. 전자는 법으로서 코드의 자동 실행을 강조하는 반면, 후자는 관료적 규칙의 권위적 제약에 의존합니다. 기술과 규제의 협업 과정에서의 돌파구 경로와 갈등 초점을 분석하는 것은 신흥 금융 업무 의 컴플라이언스 발전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경제 시대에 적응하는 새로운 금융 거버넌스 질서를 구축하고 혁신 인센티브와 리스크 관리 간의 역동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한 핵심 제안이기도 합니다.
규정 준수 아키텍처 혁신: 해외 SPV 및 온체인 샌드박스
글로벌 최첨단 관행
싱가포르 통화청(MAS)이 주도하는 프로젝트 가디언은 글로벌 핀테크 규제 샌드박스의 벤치마크 프로젝트로, 국경 간 금융 거래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파일럿 프로젝트는 JPMorgan Chase, DBS Bank, Marketnode가 주도했습니다. 원래는 Temasek과 Singapore 거래소(SGX)가 2022년 6월에 설립한 디지털 자산 합작 투자였습니다. 도이체방크는 2024년 5월에 자산 토큰화 애플리케이션을 탐색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무디스는 가디언 프로젝트 참여를 발표했으며 2024년에 자산 토큰화를 탐색할 계획입니다. 프로젝트 실무에서는 체인링크 오라클 의 핵심 기술 구성 요소를 도입하여 오프체인 실제 데이터와 온체인 스마트 계약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했습니다. 기존의 국경 간 결제는 여러 당사자의 참여와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체인링크 오라클 탈 탈중앙화 노드 네트워크와 데이터 집계 메커니즘을 통해 무역 융자 상품 상태 및 환율 변동과 같은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어 국경 간 결제 비용을 크게 절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거래 시간은 업계 표준인 "T+2" 모드(거래 후 두 번째 영업일 결제)에서 단 몇 분으로 크게 단축되어 국경 간 금융 거래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동시에, 고빈도 및 대규모 온체인 거래는 유동성 리스크 야기하고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역동적인 규제 전략을 채택하고 혁신적인 거래 속도 제한 규칙을 설정했습니다. 온체인 거래량이 일일 평균 기준을 초과하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여 단일 거래의 규모를 제한하고 관련 금융 기관에 추가 유동성 리스크 평가 보고서 제출을 요구합니다. 프로젝트 가디언 파일럿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토큰화된 증권의 국경 간 발행을 위한 프레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은행 시스템과 규제 제한의 차이로 인해 이 프레임 일반적으로 더 복잡합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화된 자산을 실행하면 거래를 더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중국과 홍콩의 특징 탐구
글로벌 금융기술 혁신의 물결 속에서 중국 본토와 홍콩은 자체 정책 시스템과 시장 기반을 바탕으로 기술 및 규제 조율 분야에서 차별화된 탐색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혁신적 돌파구의 활력이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규칙의 연결에 깊이 뿌리박힌 모순도 드러났습니다.
중국 본토는 "규제 샌드박스" 메커니즘과 최상위 설계 이점을 활용하여 디지털 위안화(e-CNY) 시범 사업에서 기술과 규제의 긴밀한 연계를 구축했습니다. "2단계 운영" 구조를 통해 중앙은행은 기술 표준 및 기반 프로토콜을 주도하고, 시중은행과 기술 기업은 시나리오 구현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화폐 발행권의 중앙화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분산원장을 활용하여 거래 데이터의 실시간 추적성을 확보합니다. 경제일보(Economic Daily)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까지 디지털 위안화 시범 사업 시나리오 수는 1억 5천만 건을 넘어설 것이며, 거래 규모는 8조 7천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소매 결제 분야에서 "기술 역량 강화-규제 준수"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러나 지역 간 데이터 거버넌스 표준의 차이와 스마트 계약의 법적 인정에 대한 모호성으로 인해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규제 차익거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경 간 무역에서 다양한 관할권 간 스마트 계약 이행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해 공급망 금융의 자동 결제에서 규정 준수 리스크 발생했습니다.
홍콩은 관습법 체계와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의 지위에 의존하며 가상자산 규제에 있어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습니다. 2023년 발효될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방지(개정) 조례는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업체(VASP)의 허가 시스템을 명확히 하고, 거래 플랫폼이 KYC/AML 모니터링을 위해 체인 분석과 같은 온체인 데이터 분석 도구를 사용하도록 요구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자금세탁방지 역량을 규제적 효과로 전환합니다. 증권형 토큰(STO) 분야에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는 "규제 샌드박스 + 투자자 계층 보호" 모델을 통해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스마트 계약 기반 수익 분배 메커니즘을 시험해 볼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그러나 홍콩 금융 관리국(HKMA)은 올해 5월 스테이블코인 법을 시행했는데, 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강력한 규제 요건(예: 100% 고유동성 자산 준비금)이 DeFi 프로토콜이 추구하는 낮은 임계값과 높은 레버리지 특성과 충돌하여 일부 프로젝트가 기술 아키텍처를 조정하거나 심지어 해외 시장을 선택해야 했습니다.
중국과 홍콩의 협력적 탐색 과정에서 국경 간 데이터 흐름은 기술 규제 갈등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중국 본토의 데이터 보안법 과 홍콩의 개인정보보호조례는 데이터 수출 기준 및 국경 간 감사 권한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블록체인 기반 국경 간 탄소 배출권 토큰화 프로젝트가 온체인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첸하이 선전-홍콩 현대서비스산업협력구는 "데이터 국경 간 흐름 보안 평가" 시범 사업을 시작하여 "신뢰 컴퓨팅 + 암호화 전송"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주권 보장을 전제로 국경 간 탄소 시장의 기술적 연계를 구축하고, 규제 장벽을 돌파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제도적 차이가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기술 업그레이드가 규제 최적화를 피드백한다"는 이러한 변증법적 관계는 중국과 홍콩 간 금융 기술 협력 개발의 새로운 패턴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핵심 과제
규제 관할권 분쟁으로 인해 글로벌 RWA 프로젝트의 규정 준수 비용이 전반적으로 급증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유니스왑(Uniswap)과 같은 탈중앙화 플랫폼을 증권 감독 범위에 포함시켰습니다. 지역별 제도적 차이 측면에서 홍콩은 APEC의 국경 간 데이터 흐름 원칙을 따르는 반면, 중국 본토는 "데이터 아웃바운드 보안 평가"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국경 간 프로젝트는 양측 모두에서 독립적인 감사 받아야 하므로 규정 준수의 복잡성이 증가합니다. 현재 홍콩 금융관리국(HKMA)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규칙은 EU MiCA 프레임 와 동일합니다. 허가받은 발행자는 홍콩 자격으로 EU EMT 라이선스를 신청할 수 있어 규정 준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서클(Circle)과 테더(Tether)와 같은 기관들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운영 센터를 설립하도록 유도하여 RWA의 국경 간 흐름을 성공적으로 촉진했습니다.
해외 SPV와 샌드박스 메커니즘이 국경 간 규정 준수를 위한 제도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기술 인프라의 안정성은 여전히 대규모 구현에 있어 엄격한 제약으로 작용합니다. 다음으로, 오라클 지연 및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과 같은 근본적인 병목 현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기술-규제 협력의 구현 우선순위를 분석할 것입니다.
기술적 병목 현상 및 솔루션
블록체인 생태계의 "데이터 브리지" 역할을 하는 오라클 자산 가격 및 IoT 센서 데이터와 같은 오프체인 실제 데이터를 온체인 스마트 컨트랙트로 안전하게 전송하는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오라클 머신의 핵심 기술 원리는 탈중앙화 노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데이터의 진위를 검증합니다. 노드 운영자가 외부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한 후,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비잔틴 장애 허용(BFT) 또는 지분 증명(PoS)과 같은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다수 노드의 검증을 거친 후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합니다. 그러나 기존의 단일 오라클 아키텍처는 심각한 리스크 안고 있습니다. 데이터 소스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데이터가 지연되거나, 악의적으로 변조될 경우, 온체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잘못된 명령을 실행하게 됩니다.
오라클 데이터 안정성
국제 사례에 따르면 2022년 DeFi 대출 프로토콜 Inverse Finance 오라클 설계 결함이 있어 1,475만 달러 상당의 온체인 자산이 불법적으로 유출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역동적인 시장에서 기존 오라클 의 핵심 취약성을 드러냈습니다. Web3 보안 감사 팀 Certik 의 분석 기사에 따르면: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TWAP 오라클 시간 창은 두 개의 인접한 블록만 포함합니다. 공격자는 플래시 론(Flash loan) 통해 SushiSwap의 INV-WETH 거래 쌍의 가격을 조작하고 7분 만에 INV의 가격을 0.106 ETH(약 366달러)에서 5.966 ETH(약 20,583달러)로 올렸습니다. 그는 부풀려진 가격을 이용해 인버스 파이낸스(Inverse Finance)에 1,746 INV(공정가치 약 64만 4천 달러)를 담보로 제공하고, 1,588 ETH, 94 WBTC, 400만 DOLA 등의 자산을 대출했으며, 최종적으로 크로스 프로토콜 차익거래를 통해 자금 이체를 달성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핵심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첫째, 오라클 시간 창이 불합리하게 설정되어 단기적인 가격 조작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둘째, 프로토콜이 담보 유동성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부풀려진 자산이 검증을 통과했습니다. 체인링크 관계자는 이후 자사의 TWAP 메커니즘이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설계상의 결함이 있었으며, 여러 데이터 소스와 머신러닝(ML)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최적화해야 함을 인정했습니다.
이 사례는 오라클 시스템 설계의 핵심 모순을 드러냅니다.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조작 리스크 방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체인링크 2.0 백서 에 따르면, 탈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는 경제적 인센티브와 암호화 증명을 통해 노드 부정 행위 비용을 9억 8천만 달러 이상으로 증가시켜 시스템의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앞으로 하드웨어 신뢰 실행 환경(TEE)과 AI 검증 계층이 적용됨에 따라 오라클.
홍콩의 앤트 디지털 테크놀로지(Ant Digital Technology)는 "랑신 프로젝트(Langxin Project)"에서 현지화된 솔루션을 모색하고, 신에너지 충전소의 자산 토큰화 시나리오에 "사물 인터넷 단말기 + 다자간 보안 컴퓨팅(IoT Terminal + Multi-party Secure Computing)"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구축했습니다. 이 솔루션은 엣지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충전소에 내장된 스마트 센서는 전류, 전압, 충전 시간 등 12개의 핵심 운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TEE(신뢰 실행 환경)를 통해 로컬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 변조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후, 데이터는 세 개의 독립적인 검증 노드(시험 기관, 전력망 회사, 감사 회사 포함)에 동기화됩니다. 동형 암호화 및 영지식 증명 기술을 기반으로 각 노드는 원본 데이터 유출 없이 교차 검증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해시값을 비교하여 체인에 저장합니다. 랑신 테크놀로지 테스트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데이터 지연 시간을 2분 이내로 제어하여 기존 단일 오라클 보다 4배 더 높은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자산 디지털화 시나리오에서 오프체인 데이터의 체인화를 위한 "하드웨어 수집 + 다자간 검증 + 개인 정보 보호 컴퓨팅"의 체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여 데이터 왜곡으로 인한 계약 불이행 리스크 효과적으로 방지합니다.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 최적화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가 파편화되어 발전하는 상황에서,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은 자산의 효율적인 순환과 가치 이전을 저해하는 핵심 병목 현상이 되었습니다. 샤크팀 사고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웜홀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은 스마트 계약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 사고를 일으켜 수억 달러의 직접적인 손실을 초래했습니다. 이는 검증 메커니즘, 자산 보관 및 리스크 헤지 측면에서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의 기술적 결함을 드러냈습니다. 이 사고에서 공격자는 프로토콜의 가디언 서명 검증의 허점을 악용하여 실제 자산을 예치하지 않고 12만 개의 래핑된 ETH를 민트,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통해 다른 체인으로 이체하여 자금을 인출했습니다. 이는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의 보안 설계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드러냈습니다.
또한, 이기종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기본 아키텍처 차이는 시장 분열을 심화시켰습니다. 기존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자산의 가격 효율성은 유동성 분열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으며, 인터체인 스프레드의 변동성은 최적화 모델보다 높습니다. 공개 보고서에는 구체적인 토큰 스프레드 데이터가 명확하게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업계 관행에 따르면 유동성 분포의 불균형으로 인해 이기종 체인 간 유사 자산의 가격 편차가 흔히 발생합니다. 부동산 토큰화나 데이터 자산 토큰화와 같이 기초 실물 자산을 벤치마킹하더라도, 거래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 금융 MM (Market Making) 와 같은 기본적인 유동성 공급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크로스체인 자산은 유동성이 분산된 상황에서 가격 효율성 문제 대면. 이러한 분열은 투자자의 차익거래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크로스체인 자산의 대규모 적용을 저해합니다.
그림 10, 출처: Web3 Caff Research 연구원 Eddie Xin(이종 블록체인과 동종 블록체인 비교)
홍콩 금융관리국(HKMA)이 주도하는 앙상블 샌드박스 프로젝트는 LayerZero 풀 체인 프로토콜을 도입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구축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라이트 노드 검증 + 오라클 협업"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크로스 체인 메시지의 즉각적인 전송 및 검증을 달성합니다. 동시에, HKMA가 지정한 허가받은 수탁기관(예: HSBC, DBS Bank)이 크로스 체인 자산을 초과 담보하고 체인 간 가격 차이 변동을 3% 이내로 엄격하게 제어하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시범적인 국경 간 탄소 배출권 토큰화 시나리오에서 LayerZero는 이더 과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간의 탄소 할당량 원활한 이전을 지원하고, 수탁기관의 실시간 가치 평가 및 보증금 징수와 협력하여 크로스 체인 자산 분리 리스크 효과적으로 방지합니다[11].
중국 본토는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 크로스체인 인프라" 시범 사업을 돌파구로 삼아 지역 협력 혁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얼라이언스 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통합 크로스체인 통신 표준(예: 크로스체인 해시 잠금 프로토콜)을 통해 광저우, 선전, 홍콩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반 기술 호환성을 실현합니다. 합의 메커니즘 차원에서는 "실용적 비잔틴 장애 허용(PBFT) + 위임 지분 증명(DPoS)" 하이브리드 모드를 채택하여 거래 확인의 효율성을 보장하고 멀티센터 노드 거버넌스를 통해 시스템 보안을 강화합니다. 셰바오젠의 2025년 4월호"인민포럼" 에 실린 "베이 지역 경제: 전면적 개방의 새로운 모델을 선도하다" 라는 논문과 중국(선전)종합발전연구원이 선전에서 발표 한 "디지털 "체인" 대만 지역 - 블록체인이 광둥-홍콩-마카오 대만 지역 통합 발전 보고서(2022)를 지원하다" 에 따르면, 종합적인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시범 운영을 통해 국경 간 무역 융자, 공급망 금융 등의 시나리오를 성공적으로 개방하고, 인민폐 디지털 자산과 홍콩달러 스테이블코인의 크로스체인 거래를 실현하여 하루 2만 건 이상의 크로스체인 거래를 처리하고 있으며, 국가적 크로스체인 생태계 구축을 위한 복제 가능한 기술 패러다임을 제공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계약 보안 강화 업데이트 알림
블록체인 생태계의 핵심 실행 단위로서 스마트 계약의 보안은 자산 거래 및 업무 운영의 신뢰성과 직결됩니다. 독일 연방 금융감독청(BaFin)은 스마트 계약의 재진입 공격 취약점으로 인해 Centrifuge 플랫폼의 업